[학술논문] 북한 역대 정권의 당군 관계 변화 및 현재적 의미: 역사적제도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그 변화는 군대의 위상과 역할이 달라진다는 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도 그 저변에 있어 변치 않는 흐름은 김일성을 비롯한 독재자 개인의 사병화된 군대라는 사실이며 당군 관계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성향은 철저히 적용되어 왔다는 것이다. 역사적제도주의는 변혁이라는 역사적 현상 속에서 제도가 생성되거나 변형되면서도 시간이 흐름에 따른 역사의 맥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리고 환경이 변화하여 제도의 효용성이 감소하거나 상실된다 하더라도 경로의존성에 의한 관성으로 인하여 제도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북한의 당군관계를 연구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고 연구 결과 역사적제도주의의 관점에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의 관광개발: 핵개발 국면의 정책 모순과 관리가능성
이 논문은 북한의 관광개발에 핵개발이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러한 영향을 어떻게 관리해왔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관광개발이 핵개발과 정책 모순에 직면하는 것은 두 정책이 추구하는 과정이 상보적이지 않고 상충적인 면이 있기 때문이다. 또 관광개발의 목표가 경제적인 측면에 있는 반면 핵개발은 정치(안보)적인 측면에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수단이 다르다는 점에서 양자는 서로 다른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 핵개발 역사를 살펴본 결과, 북한은 일시적인 핵동결 수용을 하는 듯 했지만 핵무장을 향한 경로의존성을 보여 왔다. 관광개발은 1980년대 후반 경제난과 대외정세 변화 속에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능전환을 했고, 2000년대 남북관광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내면서 제도적 층화(1차)를 이루었으며
[학위논문] 中國과 北韓의 軍事思想과 黨·軍 關係 比較 硏究 : 黨의 軍事指導思想과 領軍體系를 中心으로
...천리마운동(千里馬運動) 등이 대표적인 것 들이다. 따라서 유사한 체제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중국과 북한 당(黨)의 군사지도사상과 영군체계가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여 왔고, 어떤 관계성(關係性)을 가지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연구를 하게 된 주된 요인이다. 이와 같은 연구 의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文獻硏究)를 통해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에서 국가 간 비교방법론(比較方法論)을 적용하였다.
연구에 적용한 분석방법으로 크게 중국과 북한 군사지도사상과 당·군 관계 및 영군체계를 2개의 축(軸)으로 구분하였다. 세부 분석요인으로 군사지도사상과 당·군 관계 측면에서는 ① 군의 기원과 건군사상(建軍思想) ② 혁명무장투쟁에서 군사지도사상과...
[학위논문] 조선인민군의 조직적 특성과 상징 체계에 대한 연구 : 소련의 유산을 중심으로
...북한 군대에 관한 공식 담론 분석들이 많았으며, 이것은 실제 북한군의 현실과는 거리가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탈북 군인과의 인터뷰, 북한 영화, 소련 기록원 자료 등 폭넓은 자료를 활용하여 북한군의 실제 모습에 다가가려고 노력하였다
이 논문은 사회조직을 연구할 때 그것의 형성과정과 발전의 경로를 고려하는 역사적 제도주의의 시각에서 북한 군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역사적 제도주의의 핵심적인 개념은 ‘경로 의존’이다 이는 모든 사회조직들이 사회적 타성이 있으며 이 때문에 조직 설립 당시의 특징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조선인민군의 기원 연구로 시작했다 북한 군대 창립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세 가지 사회•정치적 세력이...
[학위논문] 통제경제 하에서 시장의 형성과 발달에 관한 연구 : 과정추적법(Process Tracing)을 활용한 북한시장의 인과 메커니즘 분석
...체제의 모순과 자기부인에 넘어지지 않는 이유가 된다. 시장을 통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사회주의 강성대국을 건설하는 것이 북한주민들의 집단적 목표가 되었기 때문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종합하여 북한시장의 거시적 변화를 판단해 보기 위해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북한시장의 변화를 정리해 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발전과 시장통제의 행위자로 북한정부를 규명했다. 또한 역사적 제도주의의 중요한 아이디어인 경로진화적(Path Evolution) 관점과 중대한 전환점(Critical Juncture)이라는 개념을 통해 북한시장에 대한 관찰을 마무리했다. 북한정부는 1990년대 경제난이라는 중대한 전환점을 통해 관리와 통제가 가능한 시장을 수용했고,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