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논문 : 역사인식 속에서의 냉전 - 북한 역사학계의 러시아사 이해
...역사학자들은 주로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북한 역사학이 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에 토대를 두고 성립되었다가 주체사관으로 전환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가 보기에, 북한 역사학의 토대가 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라기보다는 정확히 말해 스탈린주의 역사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 점은 북한 역사학이 표방하고 있는 ‘당성의 원칙’과 ‘역사주의의 원칙’에서 명확히 드러나 있다. 역사의 동력이라는 측면에서 전자는 주관적인 요인을 가리키는 것이고 후자는 객관적인 요인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스탈린 시대에 스탈린이 역사해석의 권한을 독점했듯이 이 두 요소를 결합시킬 수 있는 권한은 주체사관의 핵심인 수령에게 있다. 따라서 북한 역사학은 스탈린주의 역사학에 그 근본을 두고 있고...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판소리 문체 등을 사용하여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표현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북한 역사소설이 역사에 대한 단순한 모방이 아닌 구성의 대상이 되어 현재의 관점에 입각하여 허구적 변용이 강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북한의 역사소설에는 사회주의적 요소가 주체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민족적 형식과 민족적 특성이 강조됨을 알 수 있다. 역사주의적 원칙에 입각하여 북한 역사소설이 창작되며 예술적 형상화는 민족적 특성 발현이라는 명목과 결합되고 이념적 형상화는 권위적 담론이나 창작방법을 통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1990년대 이후에는 새로운 경향의 역사소설이 창작되고 있어 북한 문학에도 다양성에 대한 가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은 민중사 중심의 사실주의적 역사소설의 전통을 이어가고...
[학술논문] 북한문학 연구에서 코리아문화 연구로 -평화체제로의 도정과 북한문학 연구의 과제
...위함이다. 이 글에서는 기존 연구 대부분이 북한문학을 사회적 정치적 반영물로 보는 역사주의적 방법론의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보였다고 고찰하였다. 그래서 북한문학 연구의 새로운 의제로 개념사적 접근과 매체론적 관점을 제안한다. 이는 북한문학의 정전이란 과연 무엇인가 하는 비판적 문제 제기에 답을 찾기 위한 방도이다. 우리가 앞으로 연구할 것은 남한 중심의 기준으로 남한 독자와 연구자가 보고 싶은 것만 선택해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 ‘북한문학’이 아니다. 북한의 입장을 존중해서;남한이 원하는 북한문학만이 아닌 이북 지역에서 창작되고 유통된 ‘조선문학’을 실상 그대로 연구해야 한다. 이 원칙은 북한의 독자와 학자들이 ‘남조선문학’을 대할 때도 동일하게...
[학술논문]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입각한 역사 서술을 완성함으로써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법칙이 한국사에도 관철됨을 보이고자 했다. 북한 역사학의 방향은 1960~70년대 남한과 일본의 한국사 연구에서 정립된 내재적 발전론과 상통하는 것이었다. 민족 해방과 사회주의 건설을 지향한 주변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계급적 관점과 민족적 관점의 조화를 꾀했다. 이는 북한 역사학에서 당성의 원칙과 역사주의 원칙으로 천명되었다. 주체사상이 유일사상으로 떠받들어지고 김일성 유일 체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북한 역사학은 혈통적 민족 개념을 내세우고 경제 결정론을 넘어 인민대중의 투쟁에 주목하는 새로운 모색을 한다. 주체 사관으로 체계화되는 이러한 방향에서는 식민지-주변부 역사학의 특수성과 함께 비판적 역사학의 국경을 넘는 동시대성이 확인된다. 북한 역사학과 주체...
[학술논문] 북조선의 지눌 연구 동향과 그 의미
...위해서 북조선의 지눌 연구를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네 시기로 나누어서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북조선의 지눌 연구는 계급성과 역사주의 원칙이라는 대전제를 바탕으로 한 통일성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통일성이란 북조선의 입장에서 불교는 착취계급의 반동적 사상이며 이것이 모든 지눌 연구에서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가리킨다. 다만 시기에 따라서, 특히 2000년 이후에 지눌의 사상을 제한적으로나마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미세한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북조선의 지눌 연구를 남한의 관련 연구와 거칠게 비교하면 북조선은 기본 연구 원칙에 따라 체계적인 반면 남한은 그러한 원칙, 체계에는 별다른 관심이없다. 또한 북조선의 지눌 연구가 부정적 평가와 비판에 몰두한다면 남한의 연구는 이해와 긍정, 때로는 선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