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허준의 <잔등>에 나타난 소비에트 인식과 정치의식
...이념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이는 그의 소비에트 인식이 불완전한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불완전함은 그가 관찰하는 두 인물과의 관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소년과 할머니는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자신의 신념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적인 인물들이다. 화자인 천복은 이들이 보여주는 ‘열정’과 ‘연민’이 새로운 민족국가의 원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이들을 행동으로 이끌어 낸 사회주의자들과 그들의 이념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이 작품에 대해 ‘감격’과 ‘자기변혁’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는 김남천의 평가는 ‘혁명’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학술논문] 전후 여성 작가와 열전사회의 반공담론 ―김말봉의 『별들의 고향』(1953)과 임옥인의 『월남전후』(1956)를 중심으로
...주목되는 것은 근대적인 삶에 도달하지 못하고 가난과 무지의 상태에 놓인 여성들에 대한 깊은 공감과 연민의 태도이다. 소설의 주인공은 이들에게 단순히 지식을 전파하는 것이 아닌 위안과 위로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계몽 운동을 전개해 나간다. 김말봉의 『별들의 고향』 역시 계몽주의적 태도를 기반으로 해방기와 전쟁기의 혼란한 현실을 재현한다. 이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들은 남한 사회의 혼란과 갈등을 유발하는 자들로 설정된다. 남성 주인공은 선명한 반공의 담론을 전제로 하는 재건의 주체로 성장하는 데 성공한다. 이러한 성장의 과정은 연애의 서사를 기반으로 서사적 긴장감을 확보하지만; 동시에 낭만적 사랑의 열정과 정념을 형상화하는 것에는 실패하게 된다. 반공 국민으로 성장하는 남성 주인공의 이면에서 낭만적 사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