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화작가 정태병의 문학적 생애
In overall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re is few evaluations on writers who had defected or had been abducted to North Korea. Since the nation i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there are many writers whose presence have been forgotten by most of people. And Jeong, Tae-Byeong is one of them. Even though he had left a lot of accomplishments regarding juvenile literature, his name has not been
[학술논문] 재북 시기 조운 시조의 한 양상
Choun is representative writer of Yeonggwang regional literature. He was almost the only sijo poet in North Korea from 1949 when he defected to early 1960s. This study aims to find and to introduce last 6 works published in North Korea by Choun. Technique of expression is a common point of these 6 work. In conventional lyric poetry, author tells his own experiences but Choun’s 6 works are somewhat
[학술논문] 북한 문학에 형상된 탄광의 장소성
...때로 국가 담론을 내면화한 문학 텍스트에서 누설되기도 한다. 이 글은 탄광의 다차원적 경험을 문학 텍스트에서 포착하고자 했다. 열정적으로 국가와 공동체에 응답하는 주인공이 아니라, 주변부에서 교정되어야 하는 인물이나 풍문처럼 지나가는 에피소드가 주목의 대상이다. 이들은 주인공의 승리, 영광된 호명, 숭고한 열정에 균열을 만든다. 특히 김정은의 통치 담론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탄광의 징벌적 장소성은 낙후되고 위계적인 공간의 성격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또한 적응에 실패해 탈주하는 인물들은 역설적으로 자신의 욕망과 가치 지향을 실천하며 생동감을 더한다. 죽음과 재해의 사건이 주는 긴장감은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감정이입을 고조시켜 공감적으로 경험하도록 이끈다. 결론적으로 북한 문학 텍스트는 탄광을 애국과 충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