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과 개념, 맹세하는 육체의 언어들 ― 미군정기 한국의 언어정치학, 영문학도 시인들과 신어사전을 중심으로
미군정기(1945~1948) 한국의 언어 공간을 영어, 신어, 새 말 세 개의 ‘새로운 언어’들이 해방공간을 분할하고 있었고, 일본어 역시 매개적 힘을 잃지 않고 있었다. 후기식민지=신식민지로 이어지는 해방 후 한국의 레짐은 통역관 정부 혹은 광범한 통역체계에 의한 지배로 요약된다. 통역체계는 일본어에서 영어로 바로 이행한 것이 아니라, 일본어라는 언어 혹은 ‘친일파’라는 사회집단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언어 현상의 원천은 법과 제도, 풍속과 생활, 과학과 맹세로 범주화될 수 있다. 1) 법과 제도의 언어로서의 미군정(MG)의 영어에 도전하는 사회주의적 지향의 언어들은 신어사전이나 ‘주의, 사회, 과학’이라는 표제가 붙은 팜플렛류의 어휘집을
[학술논문] 번역가 김억과 임학수의 머리말-한시와 영문학 번역 계보의 성립 배경-
... 두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 여성 한시 번역에 몰두한 김억은 서양시 번역에서 내세운 원칙을 일관성 있게 지켰다. 김억의 번역론은 한시와 한문학의 유산을 타자화함으로써 외국문학으로 포착해 내고 정전의 재평가와 새로운 시형을 실험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식민지 시기의 마지막 영시 앤솔러지를 펴낸 임학수는 19세기 영문학에 주력하면서 전문 번역가로 성장한 희귀한 사례다. 해방 전후의 1940년대를 관통한 임학수는 영문학의 정전과 동시대의 영미문학을 통해 번역의 역사성을 획득했으며 해외문학파와 구별되는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일관성과 집중력을 발휘한 임학수의 번역 실천은 분단 이후 북한의 영문학 연구와 번역으로 계승되었다.
[학술논문] 분단체제 극복의 학문적 조건들
...분석대상으로 삼을 필요도 발생한다. 체제의 작동에 대한 사실 인식도 지난한 과제지만 해석자의 시각이 왜곡될 위험성 역시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로 그런 어려움 때문에 분단체제라는 텍스트를 파악하여 대안적 미래를 제시할 수 있는 ‘총체적 인문학’이 더욱 절실해진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한국의 대학들이 당면한 신자유주의적 상황과 비판적 영문학 연구의 잠재성을 역사적 시각으로 살펴보고 원불교의 삼학(三學)과 진행사조(進行四條)에 비추어 서구 교양 개념을 다시 생각해봄으로써 분단체제 극복의 학문적 조건들의 윤곽을 밝히는 데 있다. 그러한 밝힘의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고등교육 및 연구기관으로서의 대학 제도와 그같은 제도 속에서 연구하는 사람들의 내면 모두를 총체적으로 성찰하는 인문학이 대학 안팎에서...
[학술논문] 북한의 프랑스 문학 수용과 번역 다시 보기 (I) - 알퐁스 도데(Alphonse Daudet)의 경우를 중심으로
...재고찰이며, 차후의 연구 지평 확대를 위한 전망과 제언을 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생산적인 검토를 위해, 연구자는 북한의 외국문학 번역과 관련된 기존 선행 연구들을 되짚어보고 그 의의를 재확인하는 것에서 출발했다. 북한에서 발간된 세계문학선집에 대한 자료 조사, 북한의 외국문학 번역에 대한 개관, 특정 작가 및 작품의 번역과 원문에 대한 논의 등이 이루어진 영문학, 독문학, 프랑스 문학 분야의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함으로써, 어떤 외국문학작품들이 북한의 세계문학선집류에 포함되었으며 어떤 작가 및 작품들이 주목을 받았는지를 주로 살펴보았던 기존 연구의 흐름을 충실히 수정·보완할 수 있는 지점들을 파악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목표였다. 이러한 검토는 북한의 외국문학 수용사를 보다 넓게 파악하고...
[학술논문] 교양교육과 연계한 서비스러닝의 사례연구
본 연구는 교양과목으로 영어를 택한 학생이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남한대학 사회적응을 돕기 위해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주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개별 인터뷰, 그리고 두 차례에 거친 평가회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비스러닝을 통해 학생들은 문화적 차이를 존중하는 법을 배우고 남북 대학생들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둘째, 서비스러닝이 교과수업에 도움이 된 점은 영어능력 향상과 자신감 고취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인 서비스러닝을 위해 학생들은 공감능력을 키우고, 편견을 깨기 위해 노력했으며, 마지막으로, 다음번 서비스러닝 활동 설계를 위해 개선해야 할 점으로 정확하고 공정한 역할배정, 명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