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영어 학습 동기 분석
본 연구는 단기 영어캠프 프로그램에 참여한 북한이탈청소년과 우리나라 청소년의 영어 학습동기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북한이탈청소년 31명과 우리나라 청소년 65명을 대상으로 영어 캠프 시작 전과 후에 각 1회씩, 총 2회에 걸쳐 동일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설문 조사를시행하였다. 설문지에 포함된 동기의 하부 요인은 도구적 동기, 통합적 동기, 언어적 자신감, 제2언어 공동체 문화에 대한 태도,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영어 학습에 대한 불안감, 제2언어 문화권 동화에 대한 두려움을 포함하고 있었다. 설문 응답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학습자 및 교사 면담 자료 분석 결과, 북한이탈청소년 집단은 우리나라 청소년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정도로 영어 학습에 대하여 태도가 긍정적이지만 불안감이...
[학술논문] 북한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분석
...않고 섞여서 함께 제시되는데 이들 내용을 분류하여 우리한테 익숙한 서구식 교육과정의 범주인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분석한 내용을 기술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신교육강령의 소학교 영어과 목표는 영어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고 영어 자모와 일상생활 소재를 중심으로 한 기초적인 영어를 익혀서 중학교 영어의 기초를 쌓는데 있다. 이에 따라서 4학년 1학기 때는 문자 없이 구어를 익히고 2학기에는 문자를 주로 익히고 5학년에서는 일상생활의 친숙한 주제를 영어로 익힌다. 교수방법은 교실영어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도록 격려하고 칭찬하면서 동시에 익혀야 될 언어적 요소는 반복 연습을 자주 시킨다. 평가는 과정중심의 평가를 통해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학술논문] 북한출생과 중국출생 탈북청소년의 언어경험과 영어(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탈북학생들의 언어 사용 현황, 영어 인식과 학습배경, 언어학습 동기요소, 자존감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들의 다양한 언어경험과 인식에 대해 탐구하였다방법 탈북 학생을 위한 대안학교의 재학생 30명(북한출생 17명과 중국출생 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기본배경조사(10문항), 언어인식과 경험(19문항), 영어학습동기 (18문항), 자아존중감(10문항)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리커트형식의 문항들과 서술형 문항들을 포함한다. 모든 설문 응답 내용은 엑셀파일로 정리하고 객관식은 기술통계 수준에서 분석하고, 서술형은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탈북 청소년들은 출생지와 이주경로 등에 따라 다양한 언어경험과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영어 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