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념적 진정성의 시대와 원죄의식의 내면 ― 1980년대 이문열 소설의 존재방식과 텍스트의 이중성
이 논문은 1980 년대에 발표된 이문열의 자전적 소설을 대상으로 , 민족민중운동의 시대에 이문열 문학이 담당했던 역할과 발화 방식을 재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 그는 당대민중운동을 ‘ 시대적 유행 ’ 이자 ‘ 유사의식 ’ 이라 비판했다 . 이데올로그란 언제나 믿음 ( 신념 ) 과행동 ( 실천 ) 의 일치 가능성을 반성할 수밖에 없기에 , 이문열의 비판은 이념적 진정성을 추구하는 시대가 억압하기 마련인 집단적 불안을 끄집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 이 논문은 이문열이 민중 진영을 유사의식에 빠진 집단이라 비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그의 소설에서도 내면과 발화의 불일치가 반복되고 그런 이중성이 자기 환멸로 소급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 이문열 소설의 주인공들은 정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