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시대(Post-unification Era) 화해의 예전(Liturgical Reconciliation)을 위한 남북한 예배의 신학적 접점 연구
...년간의 분단과 체제 이질화 속에서 남북한 교회가 형성한 예배 전통을 비교 분석하고,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한 공동 예배 통합의 신학적 기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에 전개된 통일신학 담론은 정치⋅민족주의 중심 담론에 머물렀으나, 본 논문은 예배를 신학적 치유와 정체성 통합의 공간으로 접근하며, ‘화해의 예전(Liturgical Reconciliation)’이라는 개념을 정립한다. 루스 덕, 고든 래쓰롭, 제프리 웨인라이트 등 주요 예배학자의 이론을 바탕으로 예배의 공공성, 기억 재구성, 권력 비대칭의 환대를 중심 주제로 다루며, 남북한 예배의 형성과 변화를 심층적으로 조망한다. 또한 독일, 르완다, 남아공의 예전 통합 사례를 분석하여 남북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병렬...
[학술논문] 1988년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이 한국기독교에 끼친 영향 – 예장 통합측을 중심으로
...추구하는 진보진영의 NCCK와 복음화와 북한선교가 우선하는 자유민주주의 통일을 추구하는 CCK는 보수진영을 대표하는 연합단체로 자리매김한다. 정치적인 목적으로 한국교회가 분화된 것이다. 두 단체는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전후로 남북화해의 분위기가 무르익을 무렵 부활절 연합예배를 시도하는 등 관계개선을 위해 노력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북한의 핵무장으로 경색되는 국면에서는 서로 다른 입장을 반복한다. 보수와 진보 사이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가 부재하기 때문이었다. 보수진영에게는 복음화-북한선교-평화통일이라는 구조를 가진다. 진보진영은 민족-자주-평화통일의 구조인데 1987년 헌법체제를 민주화의 쟁취로 본다. 사실상 두 진영 가운데 민주주의에 대한 담론이 빠져 버렸다. 보수진영은 민주주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