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군민(軍民) 협동과 영화 상영: 강원도 ‘군인극장’
이 글은 냉전시기 영화 상영문화의 지역성을 살피기 위해 강원도 비도시 군인극장의 역사적 성격을 살펴본 것이다. 군인극장은 1959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강원도 군단(軍團) 소재 지역 일대에서 개관한 군인과 민간인 대상 극장을 일컫는다.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핀 내용은 군인극장 개관 및 운영 방식, 군인극장 기능 및 역할, 관객 구성, 군인극장과 극장 산업 그리고 군인극장의 지역성이다. 연구를 위해 문헌 자료를 포함한 군인극장 및 문화 단체 관련자 구술 증언을 재구성하고 분석했다. 구술 증언을 역사 기술(記述)의 방법으로 선정한 이유는 군인극장 관련 문헌 자료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사실 이외에, 일상생활 경험으로서 군인극장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군인극장은 일반 상업극장과 운영 방식에 있어서 별반
[학술논문] 북한에서 전시(展示)적 도시의 건설과 한계에 관한 연구김정은 시대의 유희오락시설 건설을 중심으로
...한계를김정은 시대에 강조되고 있는 유희오락시설의 건설을 중심으로 분석하는것이다. 이 논문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북한은평양을 중심으로 유희오락시설을 건설함으로써 ‘사회주의강성국가’ 건설에 대한 ‘전시(展示)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북한당국의 의도와는 달리 북한주민, 특히 지방의 주민들은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북한은 주요 유희오락시설을 평양에 집중시키고 이를 지방으로 확산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재정의 한계로 인하여 평양과 평양 이외의 지방(도시)이라는이원적 구조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로, 북한은 유희오락시설 등의 건설에 있어 사회동원의 메커니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