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제시하니 독자들이 스스로 교훈을 찾아가길 바란다.
첫째, 6월 13일 갑자기 시작된 이스라엘의 전격적인 공습과 이란의 반격으로 중동 위기가 재점화되었다. 이란의 극초음속 미사일이 세계 최고 수준인 이스라엘의 방공망을 뚫고 텔아비브 도심 한복판에 내리꽂히는 장면은 상당히 충격적이었다. 만약 저 미사일에 전술핵탄두가 탑재되었다면 종심(縱深)이 지극히 짧은 이스라엘에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이미 50개 이상의 전술핵탄두 및 수천 기의 미사일 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최첨단 방공무기인 판치르(Pantsir) 도입과 러시아 방공기술의 내재화를 서두르고 있는 북한을 상대로 이스라엘의 ‘일어서는 사자’와 같은 군사작전이 통할 수 있을까? 또한 미국이 스텔스 전략폭격기 B-2와...
[통일/남북관계]
... 첫 번째 글은 분단의 역사를 온몸으로 관통해 온 저자가 민족의 화해와 동질성 회복을 염원하는 글이다. 두 번째 글은 20년 전『한반도 이데올로기는 공포다』라는 제하의 책에 실었던 동 일 제목의 원고 원문을 그대로 게재한 것이다.
저자는 첫 번째 글에서 한반도의 신탁통치를 비롯한 식 민지 나라의 처리를 논의한 1945년 2월 얄타회담(Yalta Conference)부터 한반도에 38선이 그어진 후 북은 소련이, 남은 미군이 진주하여 군정이 실시되고 분단으로 치달리게 된 배경에 대해 짚었다.
특히 BC586년 바빌론에 의해 멸망한 유다왕국(남이스라 엘 왕국)을 끝으로 국가를 상실한 이스라엘 민족이 2524년 동 안 나라 없이 살다가 1948년...
[통일/남북관계]
...않고 있다.
국제정세 또한 녹록지 않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해서 많은 피해를 야기하고 있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전쟁이 또 다른 중동의 긴장을 불러오고 있다. 또한 최근 대만 총통 선거 이후 동북아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지만, 미중 간 대만문제로 인한 갈등의 불씨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렇듯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그리고 동북아와 국제정세가 매우 긴장되고 있어, 한반도 문제를 평화롭게 풀어나가는 게 수월해 보일 수 없는 여건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난 반세기 넘게 대립해온 남북의 역사를 보면 더디 가고 있지만, 대립과 대결에서 화해와 협력의 시대로 조금씩 이동해 왔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대 전환기를 맞이하고...
[정치/군사]
...잃고 있을 뿐 아니라 난민이 되어 낯선 땅을 헤매거나 심지어 소년병이 되어 총을 들고 다니며 사람을 향해 쏜다.
이 책은 오늘날 세계의 어떤 지역에서 어떤 전쟁이 일어나고 있는지, 전쟁의 불길 속에 휘말린 곳에 사는 사람들이 무엇을 바라는지 생생하게 전하는 평화 교과서로도 읽힐 만하다. 끊임없이 뉴스에 오르내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오래된 분쟁, 세계의 화약고로 일컬어지는 발칸반도와 중동 지역의 사례에 비중을 두면서 그 무서운 전쟁이 빨리 끝나길 바라는 사람들의 표정과 눈빛을 직접 찍은 사진에 담아 소개했다. “좋은 전쟁은 없고, 나쁜 평화는 없다.”는 말처럼 군대 없는 나라, 전쟁 없는 세상도 결코 꿈이 아니라는 것을 코스타리카가 일궈 온 희망에서 배울 수 있다.
[학술논문] 여호사밧과 히스기야의 북방정책의 비교연구를통한 북방선교 소고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history of the Judea-Israel relationship in the history books of Bible and tha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north and south Israels have gone through many changing stages, such as ‘conflict - interchange and cooperation - conflict - mission.’ Likewise, North and South Korea have undergone ‘conflict -interchange and
[학술논문] 한국은 핵을 가질 수 있는가? 인도-파키스탄 사례로 본 가능성과 한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 인도-파키스탄 무력충돌, 그리고 중국의 급격한 핵전력 증강 등의 사례에서 보여지듯이 현 국제사회는 국가안보에서 핵무기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면서 핵무기의 수평적, 수직적 확산이 재개되고 핵무기 보유 국가 간의 충돌로 인한 핵사용 가능성도 예전보다 급격히 늘어난 제3의 핵시대(Third Nuclear Age)에 돌입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도 북핵 고도화와 미국 확장억제에 대한 신뢰 감소로 인해 자체 핵무장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무력충돌 포함 핵개발 이후 지속되어 온 인도-파키스탄 간 분쟁 사례를 분석하면 한국 경제에 끼치는 악영향, 국제 사회 위상, NPT 등의 이슈를 차치하고 군사 안보적인 측면에서만 보더라도 장점보다...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 현황과 문제에 관한 연구 : 인권적 차원에서의 지원 방안를 중심으로
...시도하며, 지역 자치단체와 각종 북한이탈주민 지원단체가 연결망(network)을 형성하여 생활안정과 사회적응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다섯째로 대안적 측면에서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이주민에 대한 해외이주사례를 검토하였다. 동서독 통합과정까지 이르는 동안 동독인의 이주에 관한 서독의 정책과 이스라엘 건국이후 지금까지 지속해온 이주민 정책의 특징 및 베트남 통일 이후 대량으로 발생한 베트남 난민 처리과정에서 나타난 UNHCR과 베트남정부의 협력과정 및 정착방안을 검토하여 북한이탈주민 정착방향 설정에 참고하였다.
앞서 기술한 북한이탈주민의 유형별, 단계별 탈북과정에 따른 정책대안을 탈북단계, 제3국 체류단계, 한국입국 및 정착단계별로 제시하고...
[학술논문] 북한 주체사상의 기독교적 신앙체계에 관한 연구: 율법-복음의 관계와 주체사상체계 변화의 등가성 및 선교 공략점 제시
...일제 암흑기에서 조선에 빛을 비춰준 태양이라고 그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이 주체사상의 주요기능이다. 따라서 이 주체사상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구원자가 되심을 전재로 제시된 기독교의 율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율법의 기본원리는 ‘십계명’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법과 공동체 구성원이 지켜야 할 기초적인 규율이다. 북한의 주체사상, 당의 유일사상에도 기본원리가 있는데 바로 10대원칙이다. 이 10대원칙은 십계명과는 달리 제1조부터 제10조까지 김일성에 대한 절대적 복종 및 맹목적인 충성을 요구하고 있다. 제1조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혁명사상으로 온 사회를 일색화하기 위하여 목숨 바쳐 투쟁하여야 한다”이다. 여기서의 혁명사상이 곧 유일사상이요, 주체사상이다. 기독교는...
[학술논문] 북한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인식과 한반도 함의
본 연구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생한 2023년 10월부터 2024년 3월까지 「로동신문」의 기사를 분석하여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초기 북한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북한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해 이스라엘의 공격을 비난하는 일관된 태도를 견지하며, 이스라엘을 하수인으로 삼은 미국을 전쟁의 근원으로 파악한다. 둘째, 북한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통해 중동지역에서 미국의 패권이 약화되고 있고, 국제사회가 단극세계에서 다극세계로 전환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셋째,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북한이 얻은 교훈은 제국주의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국제사회의 위기가 확대될 것이라는 점이다. 북한은 자신이 받아온 이중잣대의 불합리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인민에게 반제반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