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조령출 윤색본「춘향전」의 수용과 윤색의 양상
...조령출 윤색본「춘향전」은 완판84장본을 기반으로 윤색한 것이다. 그러나 완판84장본의 내용을 수용하면서도 북한의 주체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세부적인 윤색을 많이 했다. 본고에서는 북한 1991년본을 중심으로, 1980년본과 2007년본 두 판본을 참고자료로 삼고 작품에 나타난 문체의 음악적 성격에 대한 표현과 등장인물 중 춘향과 변학도의 형상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춘향전」은 생성될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고정된 형식과 내용을 가지는 작품이 아니다. 시대와 환경의 변화, 심지어 창자와 관중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화할 수 있는 작품이다. 고전작품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인정되면서도, 현대사회에서「춘향전」은 여전히 자신만의 개방성과 유동성을 가지고 있다. 조령출 윤색본에서 완판84장본의 문체적인 특징이나 내용...
[학술논문] 1991년 북한에서 출판한 중역본(中譯本) <춘향전>의 저본의 성격과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adaptation of <Chun-hyang Jeon> which published in North Korea, 1980. Cho Ryeong-chul's <Chun-hyang Jeon> was a adaptation of the traditional <Chun-hyang Jeon 춘향전>, published in Jeonju (전주,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 Cho Ryeong-chul changed many parts of the story to make it became a North Korea style 「Chun-hyang Jeon 」, which sharpens class struggle, exalting the common people more than in the original...
[학술논문] 북한 조령출 윤색 『춘향전』에 나타난 춘향과 월매의 變貌
본고는 1991년 북한에서 간행된 조령출 윤색 『춘향전』을 춘향서사의 전변(轉變)이라는 구도 안에 포함하고, 이 텍스트에 나타난 변모의 특징과 변모에 내재된 의미를 춘향과 월매의 형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조령출 윤색 『춘향전』이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옥중화』를 수용하였음을 밝혔다. 조령출 윤색 『춘향전』의 춘향과 월매 형상에 나타난 변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조령출 윤색 『춘향전』의 춘향은 여염 여성, 즉 보편적 피지배층 여성으로 변모하면서 자유의지와 문제적 인물로서의 성격을 상실한다. 그러하기에 춘향은 여성 규범의 학습을 통해 열(烈) 관념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남편 이도령에 대한 열행을 실천한다. 조령출 윤색 『춘향전』에서 월매는 춘향보다 앞서 탈기생화(脫妓生化)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