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이후 《동학사》의 비판적 수용과 농민전쟁연구
이상과 같이 1940년 오지영의 《동학사》 간행이 해방 이후 갑오농민전쟁 연구에 미친 영향과 문제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우선 오지영은 초고본을 원고로 하여 자신의 체험과 관련 자료의 검토를 통해 상당 부분을 개작하면서 역사 사실을 복원하려고 하였다. 1940년 간행된 《동학사》는 대체로 史書로서의 자격을 갖춘 책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표지에 ‘역사소설’이라는 문구로 인하여 논란이 되었으며, 농민전쟁의 배경 및 전개과정 기술에서 여러 가지 착오가 있었다. 우선 ‘역사소설’이라는 표지에 대하여 당시 조선총독부의 전시통제로 인하여 수많은 책들이 판매 금지를 당하는 상황이었으며, 특히 영창서관과 발행자인 강의영 명의의 출판물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학술논문] 한국 근·현대사를 바라보는 세밀한 시선과 담론의 좌표
In this issue of Journal of History ,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research trends published in 2020-2021 were reviewed. During this period, researches on Korean history cove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increased quantitatively by 11.5% of papers and 24.8% of books compared to the previous two years. The keywords of the research trends for each period focused on Complex space-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