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한지역 高麗時代 城郭 築城과 年號銘 기와의 聯關性
...‘大平八年’·‘大平十五’銘 기와를 통해 고려 현종 때 내륙에서 출토된 연호명 기와와 창고건물지가 확인된 성곽들은 조세를 거둬들여 보관하는 기능과 역로망을 감독하는 관리 혹 창고를 지키기 위한 군사집단이 거주하였던 곳으로 볼 가능성과 남해 연안에 축성된 성곽은 漕運과 관련된 倉城이 존재했을 가능성에 대해서 견해를 제시하였다. ‘正豊二年銘 기와를 통해 고려 고종과 원종 년간에 왜구들에 대한 대비 혹은 몽골의 일본원정기지로의 개축되었을 개연성을 살펴보았다. ‘至正十八年’銘 기와를 통해 고려말 왜구가 강원도 지역을 침략하자 이에 대비책으로 고려 정부가 인제 한계산성을 활용하면서 인근의 사찰 혹은 관청 등의 기와를 성 내부 건물에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독도 영유권에 대한 북한의 견해
...통치하였다고 고려사에 기록하고 있다. 울릉도와 독도는 우리 선조들에 의하여 수천 년 전 고대시기에 개척된 이래 근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 그들의 생활의 무대로 이용되었다. 그러므로 독도는 국제적으로 인정, 통용되고 있는 무주지 선점의 원리에서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신성불가침의 합법적인 고유영토이다. 15세기 이후 실시된 조선의 쇄환정책은 당시의 조성된 환경에서 왜구의 침략과 약탈로부터 섬주민들을 보호하며 영해섬들을 관리하기 위한 소극적인 정책이긴 하였지만 결코 영유권의 포기는 아니었다. 쇄환정책의 실시 그자체가 곧 영유권 행사의 구체적인 표현이었다. 19세기 중엽 이후에 이르러 일본 군국주의자들의 조선침략이 노골화되자 조선은 새로운 개척정책을 내놓았는데, 그 첫 시도로 1882년에 즉시 일본정부에 항의문을 보내고 이규원을...
[학술논문] Важность и перспективы совмест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РК-КНДР-РФ памятников Северных территорий Ли Сунсина
이순신의 북방유적은 함경도의 동구비보와 건원보 그리고 조산보와 녹둔도 등이 있다. 이중경흥부에 속한 조산보와 녹둔도는 두만강 하구에 위치하였으며 조선시대에 왜구와 여진족을 방비하던 군사적 요충지였다. 녹둔도의 경우 지금은 러시아 연해주와 연육화되었지만, 일제강점기까지도 조선인들이 거주하고 활동하였던 지역이다. 녹둔도와 관련하여 가장 유명한 인물은 이순신이다. 임진왜란 이전에 이순신이 역임했던 관직이 바로 동구비보와 건원보의 권관, 조산보의 만호와 녹둔도의 둔전사의였다. 그러나 이순신의 북방지역 활동은 임진왜란 때의 업적에 비하여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편이다. 이는 임진왜란 관련 사료에 비해 북방활동의 자료가 영세하기도 하고, 북방활동 당시 이순신의 활약이 비교적 소략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간 녹둔도는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