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사회이론 관점에서 본 한국의 국제사회 참여 과정: 강제와 개혁, 저항의 혼재
...참여하게 된다. 한국도 19세기에 이러한 과정을 겪었다. 그 속에서 나타난 특징은 강제에 의해 국제사회에 편입되기 시작했지만, 이후 자율적인 개혁과 저항의 모습도 보였다는 것이다. 이는 저항적 태도를 특징으로 하는 중국, 제국주의의 학습과 실행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과 구분되는 한국의 국제사회 참여 과정의 고유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법과 유럽식 외교제도를 받아들였지만 타율뿐만 아니라 자율적 개혁도 국제사회 참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만국평화회의에 참석해 스스로의 주권을 주장했고, 광무개혁으로 내부적 제도개혁에 나서기도 했다. 서구열강의 압력에 맞서 높은 관세를 유지하려는 모습도 보이고, 국제사회의 주요 제도인 국제법을 두고 약육강식의 도구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하지만 개혁은 철저히 실행되지 못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