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완화를 위한 새터민의 음악사용
본 연구의 목적은 PTSD 증상완화를 위한 새터민의 음악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특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80명의 새터민을 대상으로 외상경험, PTSD 증상, 증상 관련 음악활용에 대한 설문을 하였고 총 78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에 참여한 모든 새터민이 외상사건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된 경험이 있으며 이 중 32%가 하나 이상의 PTSD 관련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참여자는 일상 뿐 아니라 PTSD 증상완화를 위한 음악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38%만이 일상 속에서 활용하는 반면, 75%는 PTSD 증상완화를 위해 음악을 사용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새터민들은 감상 위주로 음악을 접하지만 노래 부르기도 활용하였으며
[학술논문] 북한어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Objectives ZZThis study was conducted to translate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into North Korean language and confirm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ZZA total of 207 North Korean defectors recruited from the Call Center for North KoreanDefec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sychiatrists and psychiatric residents interviewed theparticipants individually and made psychiatric diagnosis
[학술논문] 탈북 중・고령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고독감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중・고령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체적 건강, 사회적 지지와 이를 매개하는 고독감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 인적정보 DB를 활용하여 50세 이상의 중・고령 북한이탈주민 215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 중・고령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은 2.84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체적 건강, 사회적지지, 고독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독감이 이들 독립변수들과 탈북 중・고령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구조방정식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진료센터 정신건강의학과를 내원한 북한이탈주민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사회 적응 및 삶의 질 관계
Objectives ZZ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thequality of life and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consulted psychiatric clinics. MethodsZZA total of 66 North Korean refugees who consulted a psychiatric clinic were includedin the analysis. A psychiatrist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and PTSD was diagnosedusing the clinician-administered...
[학술논문] 북한이탈 여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따른 월경문제의 비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따른 월경문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12월로 전국 5개의 하나센터에서 설문조사를 하였다. 대상자의 과소월경은비PTSD군에서 10.1%, PTSD군에서 25.0%에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3). 빈발월경은 비PTSD군과 PTSD군에서 20.3%와 8.3%에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8). 월경량과 혈괴의 양에 변화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비PTSD군과 PTSD군에서 38%와66.7%에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2; p=0.002). 총 월경문제의 수는 비PTSD군이1.5개(SD=1.5), PTSD군이 2.2개(SD=1.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2). 북한이탈 여성의 외상후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