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술논문] 美松里型土器文化의 動態와 分布圈
...이른바 형식의 개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송리형토기의 기원 및 가장 이른 형식에 대해서는 타두 적석묘, 쌍방 6호묘, 장가보 A동 34호묘, 산성자 C동 2호묘, 동산 9호묘의 호가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미송리형토기가요동의 어느 한 곳에서 발생하였다기보다는 요동반도와 요북지역에서 각기 지역색을 띠면서 거의 동시기에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권역은 고식의 미송리형토기가 출토된 요동반도, 요북지역, 그 사이의 동산유적 일대,그리고 고식은 없지만 미송리형토기가 전개된 압록강∼청천강유역과 기형적인 지역색이 뚜렷한 대동강유역이라는 다섯 개로 구분된다. 이 지역들을 묶은범위가 이른바 미송리형토기문화권이며, 이것은 어떤 통일된 문화권이나 정치체가 아니라 전체적인 공통성 속에서 권역별...
#미송리형토기 #미송리형토기문화 #고조선 #요북지역 #지역문화권 #배진성
저자: 하문식(세종대학교) | 출판사: 한국고대학회 | 발행연도: 2014
저자: 윤성호(영남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김창윤(영남대학교), 황태윤(영남대학교), 원규장(영남대학교), 도준영(영남대학교), 이세진(영남대학교), 박영목(영남대학교), 전관수(영남대학교), 이계호(충남대학교), 이도영(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 박광섭(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 사공준(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업의학과) | 출판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발행연도: 2010
저자: 정종학(영남대학교), 이경수(영남대학교), 사공준(영남대학교), 황태윤(영남대학교), 김창윤(영남대학교), 강복수(영남대학교), 김규태(영남대학교), 박종서(영남대학교), 박시영(영남대학교), 김대섭(영남대학교), 임우택(영남대학교) | 출판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발행연도: 2005
저자 : 이종수 | 출판사: 연기군 : 한국고대학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