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문학연구실의『조선문학통사』(하) 등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북 학자들이 자기중심으로 현대문학사를 전유하고 상대를 배제하는‘뺄셈의 서술’을 통해, 자기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려 했음을 알았다. 나중에 승리한자가 이미 존재했던 역사적 실상을 왜곡, 재편하는 것이 공식 역사 기술의 당연지사겠지만,공식화와 정전화를 공고히 할수록 원래 하나였던 우리문학사, 민족문학을 결과적으로 영구분열시킬 수밖에 없었다. 즉, 자기중심적 정통성 담론은 기실 모국어의 분단을 공고화하는분단문학사의 출발일 뿐이다. 1950년대 이후 최근까지 남북한의 문학사를 통합 서술한 실질적인 성과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결과 최근 남북한의 현대문학사 서술은 완전히 다른 나라 것처럼 되었다. 가령 북한의『조선문학사』16(2012)는...
[학술논문] 북조선 문학예술 연구의 동향과 첨언
...문학예술에 열광했던 때도 있기는 있었지만, 이젠 북조선 문학예술은 철따라 가끔 언급되는 잊혀진, 또는 주변부 문학예술로 남아 있는 듯하다. 이런 지금의 현실에서 북조선 문학예술을 연구한 의미 있는 2권의 저서가 출간됐다. 바로 김정은 시기 북조선 문학예술 연구의 한 성과인 『3대 세습과 청년지도자의 발걸음』과 북조선 문학사 연구의 한 성과인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이라는 공동 결과물이다. 해방 후 북조선 문학예술의 정리 또는 정전화 작업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렇게 북조선 문학예술을 새롭게 정리하던 시점에서 어떤 작품들을 선별하여 북조선의 정전으로 호명하는지에 대한 점검, 즉 정전의 소거와 소환을 통한 배치와 재배치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런 북조선 문학예술의 지형을 통해서...
[학술논문] 『갑오농민전쟁』의 구성분석 - 모더니즘적 기법을 중심으로
...발표하며 문단에 등장한 이래 1986년 78세를 일기로 사망하기까지 중.단편, 장편, 시, 번역 등 영역을 가리지 않고 왕성한 창작활동을 한 작가이다. 『갑오농민전쟁』 2부가 출간된 1980년 이후 구술능력조차 상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의 창작기간은 54년에 달한다. 박태원은 활동 기간, 남. 북한이라는 이질적 공간을 아우르는 작품의 성격 등, 우리문학사에서 보기 드문작가 중 한사람이다. 특히 “문체, 형식 같은 것에 있어서만도 가히 조선문학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할 것”이라는 자부심에 찬 모더니스트였던 박태원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소설 『갑오농민전쟁』은 모더니즘에서 리얼리즘으로 나아간 박태원의 작가로서의 경로와 함께 우리 문학사의 변모를 밝혀줄 소중한 단초를 제공한다. 본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