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민지농촌 구술의 서사구조와 문화콘텐츠적 의의 - 전북 정읍 신태인읍 화호리 지역을 중심으로 -
본고는 기존의 채록된 주민구술본(2007)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가능성과 문화콘텐츠적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전북대학교 20세기민중생활사 연구단에서는2007년부터 화호리의 식민농촌 경관에 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던바, 필자들은주민구술본을 토대로, 식민지 시대에 대응한 다양한 삶의 전형을 검토하면서, 문학적 접근방식을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고찰한 것이다. 그중에서도 화호리의 시대적 의미와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드러내주고 있는 세 계열의 이야기 전형혹은 삶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계열은 일본인과 조선인 부모결합에서 태어난 안씨와 반씨 일가 이야기이며, 둘째는 순수 조선인인 조O욱과 이O우·김O규·김O석, 나머지는 김철수(1893- 1999)이야기다. 첫째 계열의 가장 큰 특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