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월남 작가의 정체성, 그 존재태로서의 전유 - 황순원의 해방기 및 전시기 소설 일고찰
이 논문에서는 해방기 및 전시기(1945~1953)에 쓰인 황순원의 소설을, 작가가 지닌 월남민 의식과 결부시켜 살펴봄으로써 그의 문학 세계를 새롭게 해석해보고자 한다. 주지하듯 황순원은 1946년 토지개혁을 피해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해 온 독특한 이력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작가의 이력이 그의 소설 세계와 어떻게 긴밀하게 연결 되어 있는지에 대해 그다지 조명되지 않았다. 물론 월남민으로서의 위치를 염두에 둔 탓인지, 작가 스스로가 삶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아 이러한 논의가 여의치 않은 부분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남민으로서의 황순원을 부각시키는 일은, ‘순수문학’의 틀에 갇힌 작가의 작품 세계를 다채로운 관점에서 조망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학술논문] 월경(越境)과 전향(轉向) 사이 - 박현숙 희곡 <사랑을 찾아서>(1960) 연구
...1950년대 남한 사회가 월경과 전향 사이의 ‘자유’의 조건을 갖추었는가 국민과 월경인의 구도를 통해 비판적으로 묻는다. 4장에서는 작가의 자전적 기록과 구술자료를 검토하며 텍스트 창작과 개작 과정에 반영된 작가의 월북, 월남 체험을 살펴보고, <여수>(1965)로 개작되는 과정을 다루었다. <사랑을 찾아서>의 경우 월경 체험과 반공주의적 이데올로기는 긴장 관계에 놓여 있는데, 5년 후의 <여수>에 이르러 이러한 긴장 관계는 허물어지며 반공주의 이데올로기의 요소가 강화된다. 이는 제3공화국 시기 반공주의 이데올로기가 강화되는 사회적 맥락과 함께 반공주의와 월남의 체험 사이에서 유동하는 월남 작가의 내면과 텍스트의 연관성을 분석해야 할 연구사적 과제를 제기한다.
[학술논문]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지형도(地形圖)
이 논문은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지형도(地形圖)를 거시적ㆍ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작가론과 작품론의 통합적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월남작가라는 정체성에 새롭게 주목하면서 정치적ㆍ역사적 맥락 가운데 나타나고 있는 황순원 소설 언어의 굴절 양상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유년시절부터 서북지역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던 황순원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에서 유래한 디아스포라(diaspora)를 소설 창작의 모티프로 수용했다. 고향 상실의 원체험에서 비롯되고 있는 황순원 소설은 고향에 대한 향수와 귀환 욕망의 발현 등이 지속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는 디아스포라의 서사적 여정을 반영하는 것이다. 황순원의 소설에서는 도일(渡日)과 월남(越南)을 통해 작가가 실제적으로 겪은 월경(越境) 체험으로부터 디아스포라의...
[학술논문] 이범선 장편소설 <<흰 까마귀의 수기>>에 나타난 월남작가의 자기반영적 글쓰기
...강하게 띠고 있다. 이 작품에서 월남작가 이범선은 월남 이후 30년에 이르는 시기의 내면의 변화를 세밀히 형상화해내고 있다. 북한의 토지개혁 직후 평안남도의 고향을 떠나 월남해 온 남자가 ‘흰 까마귀의 手記’라는 노트를 남기고 사라지는데, 이러한 수기 형식을 빌려 월남민 스스로가 남한에서의 30년 삶을 성찰하고 있는 과정을 보여준다. 완벽히 적응한 것으로 보였던 그의 삶은, 사실 스스로를 보통의 존재가 아닌 ‘흰 까마귀’로 인식하며 살아온 고통의 내면으로 가득 차 있었음이 드러난다. 이범선의 자전적 소설인 『흰 까마귀의 手記』를 통해 파편화된 삶을 스스로의 힘으로 재해석하고 있는 글쓰기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월남작가 이범선의 작품 세계를 새롭게...
[학술논문] 자유아시아위원회(CFA)의 ‘원고 프로그램(Manuscript Program)’ 지원 연구
...체험을 담은 수기와 희곡 작품 등을 선별, 영어로 번역하여 아시아 각국 및 미국의 독자들에게 읽힘으로써 한국의 반공 경험을 전파하는 ‘원고 프로그램(Manuscript Program)’을 수행하였다. 조풍연과 유치진을 책임자로 한 이 프로그램에 의해서, 한국의 많은 반공 수기와 희곡 작품이 번역되었다. 북한의 공산주의 체제를 경험한 월남 작가들의 작품이 주로 번역 대상으로 선정되었는데, 반(反)소비에트를 중심 주제로 하였다. 이들 작품은 북한(정권)을 소련의 의지에 의해 움직이는 주권성이 부재한 꼭두각시로 인식하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것은 당대 미국의 대 공산주의 진영 인식을 공유한 것이다. 원고 프로그램에 의해 한국의 여러 반공 문학이 영어로 번역되었지만, 정식 출판된 작품은 없었다. 결과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