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월미도>와 소설 <불타는 섬>의 서사적 효과
영화문학 <월미도>는 단순히 ‘북한 영화’가 아니다. 21세기 들어서서도 남과 북에서 새삼 논의되고 있다. 이 글은 영화 <월미도>서사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영화의 서사 분석에 이어 그 밑절미가 된 원작 소설 <불타는 섬>의 서사를 짚어보고 영화와 소설 사이의 서사적 차이를 분석했다. 이어 작품서사 차이가 어떤 ‘효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김일성대학 출신의 ‘자기서사’ 변화 사례를 분석하고, 커뮤니케이션학계의 ‘효과 이론’에 근거해 서사 변화에 담긴 의미를 제시했다. 연구 결과, 영화 <월미도>와 소설 <불타는 섬>은 장르의 차이로만 보기엔 서사적 차이가 심각하다는...
[학술논문] 북한 전쟁영화의 기억법과 소구법: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남한 전쟁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북한 전쟁영화
북한에서 영화는 프로파간다적 성격을 빼놓고는 논하기 어려우며, 더구나 명확한 적을 상정하고 아군의 사기를 진작시킴으로써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는 전쟁영화라면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일반적인 전쟁영화들에서 논의될 수 있는 교양적이고 오락적인 측면들은 북한영화 연구에서는 쉽게 간과되거나 부차적으로 취급되곤 한다. 이 글은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남한 전쟁영화와 북한 전쟁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추출한 북한 전쟁영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입장에서는 패배의 기억이라 할 수 있는 인천상륙작전에 대해 북한이 유독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패배의 기억을 승리의 기억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인민의 역사 기억과 각성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이 영화들은 인천이라는 잃어버린 공간과 풍경에 대한 기억을 되살림으로써 전쟁에
[학술논문] 데탕트 이후 영화의 한국전쟁 재현 양상에 대한 연구- 더글라스 맥아더 혹은 인천상륙작전 관련남한, 북한, 미국 영화를 중심으로
...미국의 정책과 시대적 분위기를 비판했다. 그는 아시아와미국의 공조를 통해 공산주의를 척결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 같은 생각은 <인천>의 팔미도 등대작전 장면에 그대로 반영됐다. 한편 북한은 <인천>이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봤고, 인천상륙작전은 아군(북한군)의 퇴로를 마련한 성공적인 작전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생각은 <월미도>에 반영되었는데, 이 영화에서 북한군은 인민성을 바탕으로 일체감을 형성하여 맥아더 장군의 5만 대군과 대결하며,종국에는 죽어도 죽지 않는 혁명적 낭만주의를 제시하게 된다. 이들 영화들은 모두다양한 관점에서 인천상륙작전과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을 해석하고 있지만, 그것들이 모두 자국의 패권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제시된다는 점에서 볼 때 근본적으로한국전쟁과...
[학술논문] 선전물로서의 번역, 전쟁터로서의 여성 – 북한 대외홍보지 『새조선(新朝鮮)』에 게재된 여성영웅서사의 번역을 중심으로
...일대기를 문학적으로 재현한 실화문학이다. 『새조선(新朝鮮)』의 번역주체는옥희가 유격대원으로 활동한 집단서사를 최대한 충실하게 재현한 반면 가족 회상으로 구성된 개인사를 대폭 삭제했다. 이에 따라 조옥희는 여성성이 넘치는 한인간으로부터 조국, 인민과 수령에 대한 사랑으로 무장된 탈성화된 ‘영웅’으로변신되었다. 황건의 「불타는 섬」은 월미도를 사수하는 전투에서 해안포 중대장이대훈과 여자 통신수 김명희가 최후의 시간을 같이 보낸 이야기를 서사화한 소설이다. 『새조선(新朝鮮)』의 번역주체는 김명희의 내면세계를 의도적으로 은폐하고 남녀 주인공의 ‘고귀한 사랑’을 깨끗이 여과시켜서 ‘뜨거운 애국심’과 ‘숭고한 혁명정신’으로 충만한 해안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