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계성, 자주성, 공동체론의 충돌과 조화: 동아시아적 국제관계론의 부상이 북한 핵개발과 한반도 분단에 주는 함의
...만한 이론의 형성과정에 주목한다. 한중일간의 권력관계 재편과 맞물려 있는 동아시아적 국제관계론의 발전은 냉전의 종식과 함께 혼란해진 이 지역의 위계적 질서를 복구한다는 측면에서, 그리고 북한의 체제변화에 대한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남북한의 협력에는 기여하겠지만, 통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관계성(relationality)에 기반을 둔 중국적 국제관계론의 부상은 핵문제 해결로 바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북한에 대한 통제와 억지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핵위기의 재발을 막고 장기적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지역정치의 위계성 차원에서는 중국의 위상이 높아지겠지만, 미국의 지원을 확보한 일본의 자주적 외교는 북핵과 분단문제에 상당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학술논문] 종편 예능프로그램에서 재현된 탈북 여성에 관한 퍼스 기호학적 분석 - 도상, 지표, 상징을 중심으로
...기호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탈북 여성’이라는 기호는 존재적 층위에서 ‘도상 기호’로서 ‘여성성’을 대신하고, 행위적 층위에서 ‘지표 기호’로서 ‘야만성’을 대신하며, 해석적 층위에서 ‘상징 기호’로서 ‘위계성’을 대신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종편의 예능프로그램들이 ‘탈북 여성’의 기호가 지니고 있는 도상적 기호의 자질 중에서 젠더를 통해 북한을 ‘여성화’하고, ‘어린’ 여성을 통해 남한에 비해 ‘미성숙한’, ‘문제를 일으키는’ 존재로...
[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 초ㆍ중등 음악 교과서의 서도민요 수록 양상과국악 교육적 가치에 관한 논의
...<해주아리랑>과 <몽금포타령>이 각 3회, <금다래꿍>과 <싸름>이 각 2회 제시되어 총 10회 수록하고 있었다. 이중 수심가토리의 연계성을 가질 수 있는 제재곡은 <금다래꿍>과 <싸름> 두 곡에 불과하다. 정리하면 초중등 음악 교과서의 서도민요 수록 비중은 매우 적은 편이어서 학년군과 학교급 간의 체계성과 위계성을 갖기 어려웠고, 서도민요의 음악 요소로 다루어지는 수심가토리의 교육도 연계성을 갖지 못하였다. 이렇듯 음악 교과서의 국악 비중과 그 안에서의 민요 비중을 고려할 때 음악의 요소로서 서도민요의 교육은 한계가 있으므로, 교육적 가치에 관한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논의하였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ㆍ추구하는 인간상ㆍ핵심역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