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사회·정치철학의 특징과 현실 -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현재 우리는 1백여 년 전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 정세’에 세계열강이 주목했던 당시와 유사한 모습이다. 강화도조약(조일수호조규, 1876년) 이후 한일합방(일한병합, 1910년)으로 한국(당시 대한제국)은 망국의 길로 들어섰다. 러일전쟁 개시 100돌이었던 2004년에, 100년 전 동북아시아에서 일어난 대량 살육 관련기사가 한국과 주변국의 신문지상을 장식했다. 한국의 보수 신문들은 ‘그때’와 ‘오늘’의 정세 불안의 유사성을 강조하며 국가 부강의 필요성과 한국을 보호할 수호천사로서 미국의 역할을 역설했다. 하지만 100년 전 미국과 영국 등이 일본의 한반도 강탈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다는 사실은 제대로 언급되지 않았다. 한편 ‘뉴라이트’라는
[학술논문] 한⋅중 인문교류의 현황과 전망 ― 한⋅중인문학포럼을 중심으로
...교류가 문제에 대한 이성적이고 본질적 인식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비이성적이고 피상적 인식이 야기할 수 있는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을 방지하거나 해소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중국의 인문교류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상호의 문화적 정체성을 인정하고 공존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 정부가 求同存異의 원리를 내세우고 있지만, ‘儒敎文化圈’ 혹은 ‘漢字文化圈’이라는 단순한 범주화는 문화제국주의에 대한 우려를 야기할 수도 있다. 평등하고 상호적인 인문교류가 전제되어야만 ‘문화공동체’의 모색도 가능해질 것이며, 문화산업 분야에서의 共贏 가능해질 것이다. 최근의 경험은 인문교류가 다른 분야에서 발생한 갈등요소에 의해 간섭받지 않을 수 있어야...
[학위논문] 북한 · 중국 5음조식 및 화음 비교 연구 : 조식확장 조식전개 및 화음 응용의 음악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반도에 자리한 북한과 대륙에 자리한 중국은 예로부터 이웃한 나라로서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음악 이론에 있어 두 나라는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문화적 차이의 근본 속성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독특한 이론체계를 이루었다. 북한과 중국의 조식 이론은 5음 음계를 기초로 한 민요의 측면에서 조식 이론을 모색해왔다는 점에서 그 기본 맥락이 같다. 하지만 조식 형성 원리와 실용이라는 측면에서의 선율 풍격 및 색채는 상이하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5음계에 기초한 화음 역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고, 실용적 측면에서도 각기 독특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본문는 북한과 중국의 민요조식 형성의 이론적 배경과 그 형성의 과정, 두 나라 민요조식의 유형과 음급 특징, 선법에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