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정국의 청년 유교단체 ‘대동회’ 연구
...밝혀지지 않았던 해방정국의 유교 단체 대동회의 활동과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통해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해방 후 유교계의 건국운동과 통일국가수립운동을 복원하여 유교와 근대 정치제도(민주주의, 사회주의) 사이의 관계에 대해 논증하는 것을 2차적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필자는 대동회 관련 자료를 새로 발굴하여 그 역사와참여자에 대한 조사를 수행했다. 조사 결과, 대동회는 초기 유교계 통합을 목적으로 출범했으나 해방정국의 열광과 혼란 속에서점차 좌파 정치사회단체로 성격을 변화하였다. 출범 시기 대동회는 일제하 명륜학원 출신들로 구성된 청년 유림 단체로서 해방정국 초기에 유교계에서 가장 강력한 조직력을 발휘했다. 일제하비밀 독서모임인 대동사를 모체로 해방직후에 결성된 대동회는유교계 통합의 최초 추진력을 제공했고...
[학술논문] 한국 민주주의와 표현의 자유: ‘자유민주주의’의 위기
...알려진 한국이 이명박 정권 하에서 표현의 자유의 후퇴를 겪은 데 이어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시민적 자유 전반의 후퇴와 함께 ‘자유민주주의’의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본고의 목적은 한국의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 후퇴 현실에 대한 진단과 아울러 그 원인을 성찰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다수의 한국민이 권위주의적 유교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데다가 냉전ㆍ분단체제의 역사적 경험 속에서 보수세력은 자유민주주의를 내세우면서도 실제로는 안보와 반공을 이유로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고 권위주의를 정당화했다. 민주화 이후 진보세력과의 정치적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북한정권의 핵무기 개발과 호전적 도발적 행동들이 보수세력에 의한 냉전적 반자유주의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진보세력이 자유주의와...
[학위논문] 북한 권력구조 변화에 대한 비교체제론적 연구 : 북한과 중국의 헌법 및 공산당 비교
...북한 통치의 정당성을 부여해 주는 배경은 역사에 대한 왜곡과 북한 주민의 가까운 과거의 역사적 경험에서 비롯되었다고 판단된다. 김일성 가계의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그들의 조상들을 항일운동을 한 애국지사로 묘사하는 등 역사왜곡을 통하여 정통성을 확보하려 했다는 점과 북한 주민들이 역사적으로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체제를 경험하지 못한 채 조선시대의 유교적 관습에 젖어 있었다는 점 그리고 일본제국주의라는 시대적 상황을 경험한 구성원이라는 점이다. 이는 북한 주민의 역사 인식 속에 북한의 김일성-김정일-김정은에 이르는 세습권력 체제에 대한 정신적 기반을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하였고, 권력 교체과정에서 권력의 기반을 다지기 위하여 척신세력과 공신세력 교체를 병행하여 왔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북한 내부에는 정권교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