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적 전쟁영웅의 탄생과 시대적 변화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전쟁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적 전쟁영웅의 전형이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1950년대 한국의 전쟁영화는 가족주의에 매개된 ‘육탄돌격형’ 전쟁영웅의 전형을 제시했다. 적을 막아내는 것이 절체절명의 가치였던 전쟁 상황에서 육탄돌격의 투혼은 무엇보다 중요한 덕목이었다. 여기서 국가는 시민에게 국가를 헌신과 복종을 명령하는 존재로 인식되었고, 이러한 명령과 복종이 가능했던 것은 국가와 가족이 동일시되었기 때문이다. 1970년대 전쟁영웅은 ‘산업전사’의 모습을 드러낸다. 북한과 군사적 긴장이 사라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지만, 절대빈곤으로부터 해방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온 국민이 산업전사로 변신해야...
[학술논문] 6·25전쟁 수업에서 ‘전쟁영웅’을 어떻게 이야기 할 것인가
...한다는 관점에 기반하여 남북한의 6·25 전쟁영웅 서사를 검토하고 그것의 재구성 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현재 남북한의 전쟁영웅 서사는 육탄돌격형 전사의 모습을 기본으로 각각 체제의 정통성을 수호하고자 희생한 영웅의 전공과 죽음이라는 서사 구조를 공유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 인식, 전쟁과 전쟁영웅에 대한 관념의 상이가 매우 크다. 6·25전쟁 수업에서 학생들이 남북 평화 공존과 통일을 위해 필요한 과제를 탐색하려는 실천적 문제의식을 키울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남북한 전쟁영웅 서사의 상이함을 확인해 보고 그 상이함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해 보는 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전쟁영웅=군인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생존과 구원, 평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