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서정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본 연구는 북한 서정가요의 가사와 더불어 음악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 서정가요가 지닌 문학적, 음악적 특징들을 고찰해보았다. 또한 북한가요가 지니고 있는 미학적 특징과 시대적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음악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북한음악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서는 해방 전후 시기・한국전쟁과 건설 시기・주체사상 발전시기・공산주의 몰락과 고난의 행군 시기・선군음악정치 시기 등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음악동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북한음악의 사상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주체사상에 입각한 주체 사실주의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북한가요의 종류와 시대별 특징에 대한 고찰에서는 북한가요의 종류를 장르류에 따라 서정・서사・교술・희곡으로
[학위논문] 피아노 협주곡 <조선은 하나다>와 <백두산의 눈보라> 분석을 통한 북한의 '우리식 고전음악' 연구
북한에서는 가요나 민요를 북한 주민의 정서와 미감에 맞게 서양음악 양식과 악기로 편곡하여 혁명적 사상 내용을 전달하는 음악을 ‘우리식 고전음악’이라고 부른다. ‘우리식 고전음악’은 김일성이 정립한 주체문예이론과 김정일이 체계화한 음악예술론에 철저하게 입각하여 창작되므로 사상성과 예술성, 인민성과 민족성을 고유의 특성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식 고전음악’의 모든 이론은 이 특성을 기준으로 만들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남한의 음악과 전혀 다른 목적과 방식으로 창작되는 북한 음악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필자는 북한의 대표적인 피아노 협주곡 조선은 하나다>와 백두산의 눈보라>의 작품분석을 통해 ‘우리식...
[학술논문] 북한 음악교육과 연변 음악교육의 발전상황: 북한의 사회주의 건설기 음악체계 수립과 중국 연변 음악 교육과정의 역사를 중심으로
북한의 음악의 발전단계를 대체적으로 3단계로 나눠볼 수 있는데, 1단계는 1945-1950년대로, 2단계는 1960년대, 3단계는 1970년대로 본다. 그러나 김정일의 『음악예술론』(1992)이 나온 시기를 고려한다면 1990년대 이후를 4단계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1단계는 1945-1950년대, 2단계는 6.25전쟁시기인 1950-1953년, 3단계는 1953-1961년, 4단계는 1961-1970년, 5단계는 1971-1980년, 6단계는 1980년대로 보다 세분화해서 보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음악단계는 민족음악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민족음악을 주체음악으로 탈바꿈시키는 과정으로 보아야할 것이다. 조선족 음악예술의 발전단계는 주로 1단계를 1949-1966년까지, 2단계를 문화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