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한국을 위한 남북한 음악교육의 비교연구
... 남북한 음악교육의 공통점은, 남북한이 민족주의교육과 전인교육을 추구하고, 음악교육에서 인간의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는 기초지식과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차이점으로는, 남한은 민주주의 교육이념을, 북한은 사회주의와 주체사상을 이념적 기초로 수령과 당에 충직한 공산주의 혁명가를 양성하는 데 둔다. 또한 음악형식에 있어 우리는 유절가곡 형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북한음악의 기본형식은 절가형식으로 완결된 선율이 반복되면서 가사 내용의 변화발전에 따라 형상이 전개되어간다. 인성교육에 있어서 우리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방법에 의하지만, 북한은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있어 음악교육의 철학과 목적에 있어서 서로 접근이 어려운 점을 보게 된다...
[학술논문] 남·북·연변의 경·서도 민요 비교 연구
본 연구는 남한의 경·서도 민요와 이를 기반으로 재형상화 한 북한의 민요, 그리고 90년대 이후, 남한의 민요를 수용하여 정착시킨 연변민요 등 세 지역의 민요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는바, 남한·북한·연변민요의 창법, 음악형식, 장단 및 선율을 중심으로, 세 지역에서 불리어 지고 있는 경·서도 민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에 주력하였는데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창법에서 세 지역의 발음은 동일하나 남한은 육성, 북한은 속성(가성), 연변은 혼성으로 부른다는 점, 형식 면에서는 동일한 유절형식이며, 장단은 굿거리와 세마치가 공동히 사용되고 있으나 템포에 있어서는 남한보다 연변이 빠르고, 북한은 연변보다도 더 빠르게 부른다는 점, 선율 면에서는...
[학술논문] 서도소리 풍구타령의 전승에 관한 고찰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현재 남한지역에서 불리우는 풍구타령의 계보는 1970년대 황해도 출신 음악가들의 활약에 기인한 것이다. 양소운은 황해도 출신이었으며 그의 스승이었던 김진명과의 사승관계 등을 계기로 북한의 토속 노동요 풍구타령 중 황해도형의 풍구타령을 재현하였다. 시간과 거리라는 물리적 한계와 기억에 의존한 양소운의 풍구타령은 황해도형 풍구타령의 음악적 형식과 후렴구 등을 차용하였으며 가사의 일부도 충실히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인 가사의 내용은 구체적인 노동의 묘사나 대장간 풍경 보다는 통속가요에 가깝게 남녀간의 사랑을 서술하는 부분에 비유되는 수준으로 변모하였다. 양소운 이후에는 같은 황해도 출신인 김경복이 풍구타령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김경복의 풍구타령 역시 황해도형의 풍구타령의 후렴구를 차용함으로서...
[학술논문] 황해도 명창 장재천의 <안중근가>에 대한 음악적 연구
...<안중근가>를 발굴하여 분석했다. 장재천은 북한의 음악가로서 황해도 출신이고, 평양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단 후 북한의 서도 민요계에서 큰 공헌을 한 인물이었으므로 그가 남긴 <안중근가> 역시 주목될만하다. 장재천의 <안중근가>는 일제 강점기 중에 구비 전승되었는데 노랫말이 창작 당시보다 상당히 축소되었고 또 음악의 형식도 단순화되었기 때문에 판소리 보다는 민요 양식에 더 가깝다. 노랫말의 전개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해 본 결과 이 노래는 전형적인 수심가 토리를 사용하고, 3소박 2박자(6/8)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음악적 변화의 폭은 크지 않다. 따라서 이 곡은 민요이되 이야기를 노래하는 서사민요라고 할 것이다. 이 곡은 서사 민요이기 때문에 극적 음악 전개 방식이...
[학위논문] 남ㆍ북한과 연변지역의 경서도 민요 비교 연구
...구성진 발성법이라 하겠다.
발성법과 관련하여 남한의 시김새는 잔가락이나 꾸밈음, 그리고 요성을 비롯한 추성, 퇴성 등 표현기법이 다양한 반면, 북한은 시김새의 표현들이 많이 희석되었으며 연변에서는 거의 골격음만 연주하고 있는 표현법이어서 상호 비교가 되고 있다.
제Ⅳ장에서는 음악형식 및 장단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상이점을 논의 하였다.
세 지역의 음악형식이 동일한 민요는 <긴 난봉가> <자진 난봉가> <배따라기> <방아타령> <개성난봉가> <영변가> <청춘가> <도라지> <자진 뱃노래> 등, 9곡이 다. 이외의 <자진 배따라기> <양산도> <창부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