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북 방언 친족어 연구 - 초산지역어를 중심으로 -
본고에서는 평북 초산 지역어의 친족어 중에서 화자가 남자일 경우의 친족어만을 논의한 것으로 부계 친족원, 모계 친족원, 처계 친족원으로 나누어 그 호칭어와 지칭어를 각각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지역어의 친족명칭 중에 호칭은 우선 화자보다 손위인 친족원에게 사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지역어의 친족원의 호칭어와 지칭어는 ‘접두 요소 + 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부계 친족원의 3대 위인 경우에는 ‘노/징조+클아바지’, 4대 위인 경우에는 ‘고조+클아바지’로 사용된다. 여기서 ‘노/징조’와 ‘고조’가 접두요소에 해당한다. ‘클아바지’의 남자 형제와 그 배우자인
[학술논문] 중국 단동(丹東)지역의 한국어 음운론 연구
한국어음운론 연구는 개별 방언에 대한 귀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한국어의 하위 방언인 각 방언의 음운체계와 음운현상이 명확하게 연구되었을 때 비로소 한국어 전체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음운론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한반도 남쪽에만 치우쳐 연구된 음운론 연구의 대상과 범위를 넓혀 중국 단동지역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공시적 음운현상을 분석하였다.
논의 순서는 우선 현지 조사과정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 지역어의 음운체계를 밝혔는데 크게 자음, 유음, 활음, 모음 등 네 부류로 나누어 검토 하였다. 다음 형태소 경계에서 일어나는 공시적인 음운현상을 그 변동 양상에 따라 ‘교체, 탈락, 삽입, 축약’이 네 유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