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타자의 시선으로 재현한 한국전쟁 서사화 양상 연구 - 하 진, 모레모 두란, 제임스 셜터의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전쟁에 동원되어서 겪은 비극을 다룬 소설이다. 이들의 경험은 1960-1970년대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던 한국 청년들의 경험과 중첩된다. 제임스 설터의 소설 『사냥꾼들』에는 한국전쟁 당시 미공군 전투기 파일럿들이 등장한다. 공중에서 전쟁을 겪는 이들은 지상의 참상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오로지 전공을 세우기 위한 경쟁에 몰두할 뿐이다. 다양한 국가들이 참전했던 한국전쟁의 진실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분단의 현실과 냉전의 영향으로 그동안 한국전쟁을 돌아보는 시선은 국가주의와 이데올로기적인 분열로 가득했다.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전쟁의 또다른 희생자였던 참전국들의 청년들이 겪은 불안과 공포, 회의가 담긴 해외 소설들을 살펴보면서 한국전쟁의 비극을 다른 각도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학위논문] 한반도 분단과정 연구
...대상으로 2차 대전중 연합국들이 전후 세계질서를 논의하게 된 Cairo회담(1943.11)부터 남북한 별개 단정이 수립되는 1948년이 주요 범위로 되고 있다. 또한 참고자료로는 원시자료에 의존하였고, 기타 다른 주요자료의 경우 2차 자료로서 간접 인용하였다.
요약하건대 한반도 분단의 과정은 미.소가 정치 이데올로기적인 불신과 군사안보상의 대립과 갈등으로 분열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한국내에서의 이념적 갈등과 권력투쟁적 요인이 추가됨으로써 이념과 체제를 달리하는 두 개의 국가가 1948년 한반도에 탄생하는데 가속적 작용의 결과에서 비롯되었다.
이렇게 볼때 한반도 분단과정에는 미국과 소련이 철저한 대립가운데서 결과했다는 결과론적인 의미에서 한반도 분단과 정의 유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