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라크 전쟁 중 미군의 군사혁신 -내부적 그리고 외부적 군사혁신 이론의 적실성 검증을 중심으로-
미국은 2003년 3월 이라크 정권과 알카에다와의 연계성 및 이로 인한 대량살상무기의 사용가능성을 이유로 이라크를 침공하였다. 당시 정규전 중심의 교리를 적용한 미군은 2003년 중반 이후 이라크 내 반군 활동이 증가하면서 심각한 전략적•작전적 문제에 직면하였다. 문제의 핵심에는 반분란전 (Counterinsurgency)과 안정화 작전 (Stability Operation)에 대한 미군의 지식과 대비 부족이 자리잡고 있었다. 수렁으로 빠져 들고 있는 듯 했던 이라크 전쟁은 2007년 중반부터 호전되기 시작하였고 결국 미국은 지난 10여년을 정의한 이라크 전쟁을 2011년 12월 종료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략적 성과는 반분란전과 안정화 작전 교리의 개념적 정립 및 제도적 확산이라는 군사혁신의 결과였다...
[학위논문] 1948∼1968년 남·북한의 ‘중립국’ 외교 연구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반식민’ 문제를 활용했다.
냉전은 1950년 한반도에서 ‘열전’을 낳았고 전쟁 동안 남·북한은 더욱 철저한 진영외교를 고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1954년부터 반식민·평화·중립 등을 주창하며 냉전의 양대 진영에 속하기를 거부하는 ‘제3세력’이 등장했다.
1957년 북한은 주요 아시아·아프리카 비사회주의 국가들(인도·인도네시아·버마·이집트·이라크 등)과 무역협정을 맺거나 무역대표부를 양국에 설치했다. 반면 남한 정부는 1954년부터 밀려드는 중립과 평화에 대해 공산세력의 ‘중립공세’이자...
[학위논문] 북한의 비대칭 군사전략 연구
...conventional weapons has hit the wall after the Cold War due to North Korea's isolation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its worsened economic crisis, and inferiority in the competition with the South. In order to end these threats to the survival of its structure, North Korea converted its strategy to an asymmetric strategy following the cases of Vietnam and Iraq against the United States.
Third,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