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영석의 전쟁소설 고찰 -박영준 전쟁소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전쟁소설이 지닌 뚜렷한 성격을 드러내기 위해서 박영준의 전쟁소설과비교를 시도해 보았다. 박영준을 선택한 이유는, 박영준이 남한 소설가 중에서 한국전쟁기에전장을 배경으로 한 전쟁소설을 가장 많이 창작한 작가로서 나름의 대표성을 지닌다고 보기때문이다. 김영석의 전쟁 소설은 대결 구조와 성장 구조를 통해 작가의 주제의식을 선명하게전달한다. 김영석의 전쟁소설에서 이상적으로 여겨지는 전사의 모습은 당의 이념에 바탕한 의지로 모든 고난을 극복하며, 결국에는 ‘적군의 기관총을 몸으로 껴안는 모습’에서 극적으로 나타나듯이 공동체를 위해 자신을 온전히 희생하는 모습이다. 이에 반해 박영준의 전쟁소설에서는 이념보다는 사랑이나 가족애 혹은 동료애와 같은 인정을 무엇보다 강조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김영석의...
[학술논문] 프로파간다 분석 모델로 본 리설주 선전과 전망: 강반석, 김정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설계하여, 북한 정권의 이상적 여성상 선전이 체제 권력 정당화와 젠더 규범 재생산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가족인 강반석, 김정숙, 리설주의 이미지가 각각 ‘혁명적 어머니’, ‘군복 입은 영웅적 어머니’, ‘현대적 내조형 영부인’으로 이상화·우상화되는 과정을 시각적 구성, 기호학적 의미, 감정적 동원, 기술적 매개, 사회적 유통 등의 다차원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강반석과 김정숙은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고 체제 이념에 맞게 이미지를 변형·은폐하여 사후에 신성화하고 집단 기억에 영속화하는 전통적 여성상 모델을 형성하였다. 반면 리설주는 김정은 집권 이후 등장한 현대적 여성상으로, 최신 미디어 기술과...
[학술논문] 북한 영화에 나타난 이상적 여성상 비교분석 - ‘우리의 향기’와 ‘백두의 봇나무’를 중심으로
This study have focused on North Korean film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North Korea more realistically. After analyzing two North Korean films which were broadcasted in 2000s, we have concluded as follows: ideal types of women had bee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nd situation of the movie. When the background were focused on revolutionary war, the ideal types had been expressed
[학술논문] 탈북 작가 소설에 나타난 여성 표상 연구
...작가들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이 성별에 따라 구별되어 표상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북한에서는 남성 중심적인 권위주의 문화 속에서 여성들에게는 수동적이고 헌신적인 여성상이 강제된다고 한다. 이것은 탈북 남성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서 일정 부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상의 상당 부분이 가부장제를 내면화 한 남성들의 판타지에 기인한 가상일지라도, 북한 여성들이 실제로 겪는 젠더적 고통은 결코 적은 것이 아니다. 이지명은 <금덩이 이야기>, <불륜의 향기>, <확대재생산>를 통해 권위주의적 남성 문화와 이에 바탕한 이상적 여성상을 일관되게 작품화하고 있다. 윤양길의 <어떤 여인의 초상화>도 일방적으로 희생하는 수동적인 선군(先軍)시대의 북한 여성상을 보여준다. 이처럼 수동적으로...
[학위논문]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의 젠더 담론 연구
본 연구는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를 통해 북한 사회의 젠더 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영화와 젠더에 관한 기존 연구물들은 영화에서 제시하는 이상적인 여성상이나 남성상, 그리고 여성정책에 주목해 왔다. 그러나 젠더가 사회문화적 성으로서 관계에서 구성되는 담론이라고 할 때 여성성 또는 남성성만 분석해서는 온전히 파악할 수 없다. 또한 다양한 사회범주에서 상호작용하며 재구성되는 젠더 문제를 법과 정책을 통해 특정 위치를 개인에게 설정하는 ‘국가’ 또는 ‘민족’이라는 현실공간에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북한영화를 통해 젠더 담론을 분석하는 본 연구는 다음을 전제로 한다. 첫째, 통치담론들을 젠더의 국가적 범주에 대입시켜볼 때 정치적 특성이 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