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역사의 내전(內戰)화:<일간베스트저장소>의 5·18 언설을 중심으로
1987년 이후 광주민주화운동이라는 역사적 기표를 공식 부여받은 5․18은 극우보수집단에 의해 북한의 지령이나 북한과 연계된 불순분자들에 의한 내란과 폭동으로 재서술되고 있다. 내란과 반란, 폭동의 주범들이 보상을 받고 종북좌파가 득세하는 국가가 탄생했다고 주장하는 극우보수집단의 서사는 5․18을 향한 극단적 적대감을 고취시킨다. 정당, 대학, 언론, 시민단체 등에서 활동하는 극우보수인사들이 5․18의 역사와 기억을 자신들의 서사 속에서 재정립하려는 담화 정치를 수행한다. <일베>에서 ‘젊은 우파’ 집단으로 평가받는 이들 또한 5․18에 대한 극우보수집단의 언설들을 지지하고 확산시킨다. <일베>는 극우보수인사들의 언설과 5․18 관련 정보들의 재구성과 재생산의 주요한
[학술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Whole-Mouth Taste Thresholds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s
Background and Objectives Since Korea has been divided into two countries over 60 yearsago and differences has gradually developed between the two, an influx of North Korean refugeesto South Korea have soared over the past 20 years. Their complaints regarding taste intensity,particularly about strong sweetness of foods, are common after entry into South Korea. Because a long-term over-exposure or restriction
[학술논문] 남북한 특수교육 용어 비교
본 연구는 남북 특수교육의 원활한 소통과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자 남북 특수교육 용어를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장애아동 조기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북한 특수교육 문헌을 조사하여 306개의 특수교육 용어에 대해 남북 용어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전반에서 남북 어휘와 고유어 및 외래어 사용의 차이로 인해 남북 특수교육 용어의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은 한자어와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고, 북한은 외래어를 순화하여 고유어와 한자어를 주로 사용한다. 한민족으로서 같은 언어를 사용하기에 남북 공통사용 용어가 나타난다. 공통사용 용어는 교육학, 상담학, 심리학 등에서도 사용된다. 진단검사 및 평가, 교육방법, 통합교육 등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