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 범종과 향로
	                                  유리건판을 속 북한 지역 사찰의 조선 후기 불교공예품은 범종과 향로를 대상으로 하였다. 범종은 17세기의 범종이 5점, 18세기의 범종이 1점, 19세기의 범종이 1점이었고, 향로는 유점사의 옥제궤형향로와 금동정형향로 2점이었다. 유리건판 속 조선 후기 범종은 釋王寺 <숭정6년명 범종>(1633), 釋王寺 <순치5년명 범종>, 귀주사 <강희10년명 범종>, <귀주사 범종>(17세기 후반), 성불사 <강희30년명 범종>(1691), 장안사 <강희47년명 범종>(1708), <도광10년 경인명 범종>(1830)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범종들은 명문과 양식을 통해 주종장을 추정할 수 있었다. 석왕사 <숭정6년명 범종>(1633)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