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나라 군사작전으로 본 위만조선 왕험성 위치 고찰: 북한급변사태 시 중국의 연고권 개입 명분에 대한 함의
...도출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사기』 「조선열전」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한나라 육군과 수군의 작전계획과 실행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결과 공격목표가 한반도 평양이었다고 보기에는 많은 논리적 모순이 존재하였다. 본고의 핵심 논거는 첫째, 한나라 수륙합동군의 전투서열을 분석할 때 주공 육군에 대한 조공 수군의 작전 동시성을 담보할 수 없는 육군의 원거리 기동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점이다. 장거리 원정 치고는 소규모인 병력 자체의 적합성은 물론이고, 왕험성을 한반도 평양으로 본다면 중국 하북성에서 평양까지 기동 루트가 매우 길다는 점에 보급지원상 심각한 논리적 문제가 수반된다. 또한 하북성과 평양 사이에 놓인 8개 강에서 존재해야 할 방어작전 혹은 충돌 기록이 사서에 한 건밖에 나타나지 않은 점 역시 왕험성재평양설의...
[학술논문]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Japanese Christianity during the 1980s’ South-North Korean Unification Movement
Brief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Christianity c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signed on June 22, 1965. The new era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exchange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Christians. The starting point of the development for the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