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의 1990년대 경제위기와 기업 행태의 변화 : 생존추구형 내부자 통제와 퇴행적 시장화
.
[학술논문] 북한 핵무장에 대비한 군사적 측면에서의 대응전략
...전략으로 채택하여 스스로 핵보유국 지위를 기정사실화 했다. 이러한 북한의 일련의 행보를 분석해 볼 때 북한 김정은 정권은 핵무기를 절대 포기하지 않고 핵무력을 더욱 강화하여 대남전략에 적극적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우리는 북한 핵 문제의 당사국으로서 국제사회와 연계하여 유엔(UN)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와 2321호를 성실히 이행하여 경제제재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의 ‘최대 압박과 개입(Maximum pressure and engagement)’의 대북정책과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는 등 한반도 비핵화 노력을 성과 있게 추진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외교적...
[학술논문] 북한의 무역권(와크)에 관한 연구 : 재산권 이론에 의한 접근
...한다. 특히 무역제도로부터 무역권을 사용권, 양도권, 발효권, 소득권으로 분할 구성하였다. 이는 북한 무역의 분권화 과정을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여 북한 무역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실마리가 된다. 북한 무역 메커니즘 관련 기존 연구는 정치역학적 관계나 분권화 차원에서 시도되었으나 분권화 개념이 모호하거나 특수경제 범위만 다루었다는 한계가 있다. 북한 경제를 이행경제 차원에서 재산권으로 접근한 연구도 있으나 유형자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북한에서는 경제활동 자체가 재산권이 되기에 북한 경제 이해에 있어 무형의 경제활동 권리를 분석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0~2015년 내각 무역을 범위로 북한 무역권의 구성 변화를 개별 무역품목 및 국민경제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학위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의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연구 : 경영관행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시도하는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는 공식 제도와 비공식 제도의 불일치 속에서 긴장을 유발한다. 따라서 향후 북한의 기업소 경영관리 제도는 보다 더 장기적이고, 점진적으로 공식·비공식 제도 전체가 재편되는 변화를 겪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기업소 경영관리 제도는 현실을 보다 충실히 반영하여 진화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이행경제체제하 경영혁신으로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라는 개혁적 성향의 정책이 등장할 수 있었던 맥락을 제도적으로 조망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더불어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논의가 되지 않은 ‘경제적 공간’을 북한 기업소 경영관리의 제도적 논리로서 다룬 점,...
[학술논문] 지대추구이론의 진화와 북한 정치경제에의 적용
지대추구이론(rent-seeking theory)은 신고전파 경제학의 지류인 공공선택론을 넘어, 개발경제학, 이행경제학, 권위주의(독재) 정권의 정치경제, 부패연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정치와 경제 간의 유착관계를 유용하게 설명하는 개념 틀로서 진화해왔다. 본고는 북한 정치경제의 분석과 전망에도 지대추구이론적 관점을 채용하는것이 유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북한 정치경제의 맥락에서 지대와 지대추구의 개념을 정의하고, 지대추구이론을 활용한 논의주제로서 시장 메커니즘 확대에 따른 지대 원천 및 지대 유형의 변화와 ‘경쟁적 지대추구’로의 지대추구 동학(動學)의 변화 그리고 지대추구의 사회후생과 경제성장에의 함의에 대해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