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을 둘러싼 갈등의 삼층 구조
본 논문은 한반도 통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의 원인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는데 있다. 한반도 통일은 국내 정치, 남북한 정치, 그리고 남북한과 동북아 4강의 이해관계의 정치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민족문제인 동시에 국제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합의된 통일 방안의 부재에 따른 내적 갈등, 합의 이행과 신뢰의 부재에 따른 남북한 간 갈등, 그리고 이해관계의 상이성에 따른 남북한과 동북아 4강의 갈등 등이 중첩되어 있어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통일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의 삼층구조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통일 환경이 도래할 때, 통일 비용과 사회적 혼란, 그리고 주변국의 방해 등을 최소화하면서 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 작업인 것이다.
[학위논문] 統一韓國의 權力構造에 관한 硏究
...정치통합은 곧 동일한 권력구조가 통일된 전체지역에 적용되는 것으로 완결된다. 그러므로 권력구조는 통일의 충분조건이면서 통일을 이뤄가는 필요조건이기도 하다. 즉 권력구조는 한 국가의 헌법체계 중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서 국가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이다.
이처럼 필요충분조건이면서 복잡한 난제인 권력구조를 제정하는 과정은 남북한 정치제도의 상이성과 체제의 상극성으로 말미암아 엄청난 갈등과 분쟁을 겪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남북이 모두 동의할 수 있는 통일한국의 권력구조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어 통일 전에 이 문제에 대한 남북한 사전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학문적으로는 우리 학계의 연구 틈새를 메우고 실천적으로는 민족통일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데...
[학위논문] 독재정권의 체제 이행 조건과 상이성에 관한 연구 : 북한, 동독, 이집트, 시리아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Although the transition of South Europe, South America and Asian countries to democratic regimes in the 1970s and 1980s, the collapse and transition of socialist regimes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and the democratization revolutio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2010, Democracy is still underway. Despite the collapse of many dictatorships around the world, some countries have fallen
[학술논문] 독재정권의 체제 이행 조건과 상이성
...수준 및 정도에 따라 상이한 진행 과정과 결과를 만든다. 즉 독재체제는 저항세력의 저항 수준, 지배세력의 분열 정도 및 그 상호작용에 따라 체제 이행 여부뿐 아니라 결국 민주화로 나아가느냐 아니면 혼란으로 치달아 심각한 내홍 상태에 빠지느냐가 결정된다. 북한에서처럼, 저항세력의 저항 수준이 낮고 지배세력의 분열 정도가 약하면 독재정권은 이행하지 않고 유지된다. 동독과 이집트에서처럼, 저항세력의 저항 수준이 높고 지배세력의 분열 정도가 크면 독재정권은 이행하고 민주화로 나아간다. 시리아에서처럼, 저항세력의 저항 수준이 높아도 지배세력의 분열 정도가 약하면 독재정권은 이행하지 않고 혼란 상태로 나아간다. 독재정권은 ‘일당독재’를 보완하는 ‘개인독재’의 ‘효과적’인...
[학술논문] 북한 저발전의 정치 논리: 탈사회주의 체제이행국 비교
...착수할 정치 유인이 낮고 그 결과 국가경제가 저소득 함정에서 탈출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개인 독재가 공공재 정책 과소 공급의 유인 구조로, 공공재 정책 과소 공급이 경제 빈곤으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저발전의 정치 논리’를 북한의 사례는 전형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경험적 검증 전략으로 이 연구는 탈사회주의 체제이행국 다수 사례 비교의 맥락에서 경제발전 및 정치 자유화의 장기 변화와 관련한 북한 사례와 여타 사례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추출한다. 경제발전 수준 및 정치 자유화 장기 변화 조건에서 비교가능성을 확인한 탈사회주의 체제이행국 소수 사례를 중심으로 국가 개혁 및 시장 개혁과 관련한 장기변화의 추이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개인 독재 수준의 장기 변화와 연결시켜 경험적 검증을 완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