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항림 소설의 ‘연애모티프’와 상징성 고찰
...대별되고 있는 점에도 주목하였다. 작품마다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지만, 후자는 전자에 비해 약간의 공백기를 거친 뒤 발표했다는 단순히 창작 시기의 전후 관계 외에도 인물의 내면에 현실에 안주하거나 순응적인 지식인으로서 전락하지 않으려는 열렬한 도덕의식으로 무장되어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담화의 구성방식에 있어서도 「부호」와 「농담」은 소설의 주인공을 인물소설가(character as novelist)로 등장시켜 해석적 수준에서 역사(현실)을 평가하고 이에 비추어 자신을 평가하도록 주체적 시도를 한다. 당시 소설의 구성과 담화방식 면에서 참신성과 차별성을 확보한 경우다. 또한 예술창작의 매개화와 알레고리, 그리고 부조리한 삶의 실체를 드러내는 위장술은 지식인의 자의식 및 정체성의 복원의지와도 관련되고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