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화선(火線)음악 - 6.25전쟁기를 중심으로 -
...직맹(職孟) · 농맹(農孟) · 여맹(女孟) 등 다양한 조직체계를 기반으로 광범위하게 보급되었으며, 군대에서도 군대 내 음악써클을 통해 다양한 형식의 노래 가창(歌唱)이 이루어졌다. 체계적인 조직의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한 음악활동은 전쟁기에 인민군대 내에서 혁명적 낙관주의를 보급하는 역할을 하였다. 화선에서 진행된 인민군협주단(人民軍協奏團)을 비롯한 전문 음악단체의 위문공연과 함께 인민군대 스스로 화선예술선전대(火線藝術宣傳隊)를 조직하여 최전선에서 전투에 매진하는 인민군대를 독려하였다. 특히 이들은 거문고와 나팔, 가야금과 같은 악기를 손수 제작하여 연주에 사용하였으며, 전쟁기간 중인 1953년 5월에 있었던 군무자예술축전(軍務者藝術祝典)에 참가하여 위용을 뽐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술논문] 북한 가야금병창에 관한 소고 - 조선음악년감을 중심으로 -
이 연구는 북한 가야금병창의 발전 과정을 소개하는 기초적인 연구로써 북한음악계 안에서의 가야금병창의 역할과활동 양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음악 창작 초기 북한 가야금병창은 비판적 민족음악계승과 민요의 요소를 음악 창작의 기초로 하는 북한음악발전 안에서 기존의 전통 가야금병창 연주형식을 고수하다가, 이 후 탁성제거와 악기개량을 거치며 1980년대 가야금독병창과 같은 변화된 연주형태로 북한의 체제선전과 인민대중의 사상교양 학습 목적의 음악을 선보이며 발전하여 갔다. 연속간행물인 조선음악년감을 통해 살펴본 북한 가야금병창의 활동양상은 북한의 주요행사인 경축행사와 각 국가간의 음악교류행사에서 살펴볼 수 있고, 조선인민군협주단, 함경북도예술단, 금강산가극단, 피바다가극단, 평양예술단, 강원도예술단, 황해남도예술단
[학술논문] 북한 가야금병창 공연활동에 관한 고찰 - 조선문학예술년감(1998-2018) 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의 예술전반의 활동과 성과를 기록한 연속간행물인 조선문학예술년감 의 구성체계를 중심으로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의 북한 가야금병창의 공연활동에서 보이는 특징을 살펴보는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공연활동에서의 연주계층, 종목, 주제 등으로 크게 구분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고, 그 연주계층으로는 조선인민군협주단의 활동을 대표로 하는 전문예술단체 활동과 여맹원, 학생 등과 같은 다양한 계층에서의일반 대중활동(예술소조)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활동이 대등하게 나타났다. 연주종목으로는 크게 가야금병창과 가야금독병창, 가야금병창과의 혼합편성으로 구분되어 두 계층 모두에서 연주되었고, 그 중 가야금병창 활동이주력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이 시기 전문예술단체 활동에서 무분별한 전자음악 사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