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도 관점에서 본 북한과 베트남의 경제성과 비교
...포용적인 경제제도를 채택함으로써 상당한 기간 양호한 경제성과를 보인 사례가 있다. 그러나 철저한 독점적 정치제도와 포용적 경제제도의 공존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으며, 북한 같이 일인지배와 철저한 정치독점 하에서 포용적 경제제도로의 진화의 한계는 더 크다. 북한은 아직 이 단계에 진입하지 못하였고, 다만 현실 경제 속에 비공식 시장이 확산되고 있으며, 대다수 인민과 당, 간부도 시장에서 많은 자원을 조달하고 있다. 그 동안의 개혁개방 실험 경험을 볼 때, 북한은 아직 새 제도를 디자인할 의사와 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그 바탕에는 철저한 일인지배와 체제고수를 지상목표로 하는 철저하게 배타적인 정치제도가 있다. 베트남이 시행착오 끝에 현상적 수준의 개혁에서 본질적 수준의 개혁으로 진화한 반면, 북한은 본질적 개혁 단계로...
[학술논문] 몽골의 체제전환법제의 동향과 북한법에 주는 시사점 -헌법을 중심으로-
몽골은 1980년대 말부터 구소련방의 해체, 여타사회주의국가들의 체제전환에 의한 사회주의체제의 몰락이라는 세계사적 변화에 대응하여 체제개혁을 단행하였다. 몽골은 사회주의 체제의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하여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 민주주의 체제로의 체제전환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0년대 사회주의국가의 체제붕괴 과정에서 일찍이 사회주의체제에서 민주주의체제로의 전환을 완성하여 체제전환의 주요 성공사례국에 해당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몽골의 사회주의체제 전환 이후 민주주주와 자본주의 국가로서의 발전적 기반형성과 관련 법제도의 현황을 살피고, 여전히 사회주의제도 하에 있는 북한의 법제와 비교하되 헌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특히 몽골의 헌법개혁과 북한의 사회주의헌법을 비교 고찰하되
[학위논문] 중국과 북한의 권력승계 비교 연구 : 마오쩌둥과 김일성의 후계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일은 김일성의 이념을 체계화하고 유일화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둘째 후계자와 지배 연합의 관계에서 권력구조의 차이에 따라 권력승계의 안정성이 달랐다. 집단지배에 비해 일인지배에서 권력승계의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화궈펑과 김정일 모두 전임자의 지명으로 후계자가 되었고 둘 다 전임자의 이념을 계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궈펑은 자신의 의사에 반해 공산당 주석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반면 김정일은 종신 집권에 성공했다. 김정일과 화궈펑이 다른 권력 구조에 처했다는 점이 두 후계자의 운명을 가른 요인이었다. 후계자 김정일은 일인지배 권력구조에서 권력승계를 이뤘기 때문에 지배 연합의 지지 이탈로 인한 위협은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에 집단지배 권력 구조에서 화궈펑이 지도자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선 지배 연합...
[학술논문] 중국적 일인지배의 유형과 변화: 정치사상사적 접근
...장기집권체제가 막을 열었다. 공산당 일당독재체제에서 일인지배가 유지되는 원인에 대해 대부분의 기존연구들은 정치엘리트적인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은 공산당 일당독재체제에서 나타나고 있는 개인독재 혹은 일인지배를 정치엘리트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이해하려는 기존의 연구경향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대안으로 중국에서 일인지배가 지속되고 있는 현상을 정치사상적인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역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일인지배를 유형화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중국의 일인지배를 정치엘리트적인 관점에서 분석해 온 기존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3장에서는 역사적으로 중국의 일인지배에 담긴 사상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4장에서는 중국의 일인지배를 전통주의, 전체주의, 권위주의, 조합주의...
[학위논문] 북한군 위상 및 역할의 지속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김일성과 김정일체제의 당․군관계를
...의한 체제팽창을 목적으로 한 군사정책의 수행도구였다면, 김정일 시대에 들어와서는 체제유지 및 체제수호를 위한 도구로서 군의 역할로 변화하고 있다. 즉, 북한군은 김정일 친위대로서의 기능에 그 중점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군의 역할변화를 통해서 볼 때 북한 정치체제는 군사국가화하고 있는 측면이 있는 동시에 사회주의체제 권력구조의 특징인 최고지도자 일인지배체제에서 형식적으로 노동당을 통해서 인민군을 통제 및 지배하는 사회주의 일당독재체제의 특성을 지속하는 측면이 있다.
Since the death of Kin Il-Sung along with a smooth succession of power, North Korea has been still firmly maintaining 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