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허헌연구 : 북한정권 수립과정에서의 허헌의 역할
...패악은 형용할 수 없을 정도로 극히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었다. 대내적으로는 조선왕조 시대의 정치적으로 부패한 삼정의 문란으로 인하여 양반층의 횡포는 극에 달해 도탄에 빠진 민초들은「동학농민혁명」등 민란이 발생하는 등 내부적 모순이 축적되어 봉건체제가 해체되는 과정에 있는 세기말적 현상으로 조선왕조는 붕괴되기 시작하는 조짐이 보였다. 그리하여, 조선에서는「임오군란」,「갑신정변」,「동학농민혁명」등이 잇달아 발생하여 내면적으로 조선왕조의 기반을 잠식해 들어갔다. 대외적으로는 프랑스, 러시아, 미국, 일본 등 세계 자본주의의 열강들이 다투어 조선의 개항을 요구하는 등 특히 일본은 강화도 불평등 조약을 내세우며 대륙침략의 야욕을 드러내며 조선의 운명은 외세에 의한 반식민지화의 길을 밟고 있었다. 또한 외면적으로는 일본과「강화도불평등...
[학술논문] 고종 대 책보의 봉안과 이동 - 북한행궁과 종묘 봉안을 중심으로 -
...기존의 임시 보관처였던 창덕궁의 서향각과 주합루 외 경복궁의 전각으로까지 봉안처가 확대되었다. 1873년(고종 10)에 경복궁 근정전의 편전이었던 修政殿에책보를 봉안하기 시작하였으며, 1875년(고종 12)에는 건청궁 내 觀文閣이 새로운 봉안처로 되었다. 당시에는 경복궁과 창덕궁을 오가며 거처하였던 왕을 따라 책보도 옮겨다녔다. 그러나 궁궐의 화재와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경복궁 과 창덕궁은 책보의 안정을 보장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1885년(고종 22)부터 새로운 책보의 보장처로 북한행궁이 등장하였다. 그리고 임시 봉안처로 규장각 이문원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새로운 존호 책보를 올리면 새로운 책문과 기존에 가지고 있던 보인을 이문원으로 옮겨 잠시 봉안하였다가 다시 북한 행궁에 봉안하였다...
[학술논문] 청일전쟁으로 가는 길: 고종 정권과 대원군 세력의 권력투쟁; 그리고 대외관계의 변화
...러시아와 같은 외부 행위자와의 제휴를 모색하였으며, 양측의 대립은 결국 청일전쟁을 촉발시키는 근인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내적’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위 균형전략을 구사하는 정치 권력의 일반 행태를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이에 기반해 임오군란, 조러밀약 사건, 그리고 청일전쟁기 고종 정권과 대원군 세력의 대립구도를 분석한다. 고종 정권은 애초 전향적 개화정책을 통해 청으로부터의 자율성을 확보하려 했음에도 대원군 세력과 연계된 임오군란이나 동학군에 의한 정치적 위기상황에서는 오히려 청에 의탁해 정권을 유지하려 하였다. 대원군 세력은 애초 강력한 반일 척화정책을 추진했음에도 청일전쟁직전에는 일본과의 협조를 통해 권력을 재장악하는 이중적 행태를 보였다. 양측의 이러한 비일관적 대외 행태는 상호...
[학위논문] 중국의 한반도 군사개입 유형 및 원인 분석
...대응형”, “경제적 이익 추구형”으로 재유형화하고 그 원인을 분석한다. 세력권 유지형 군사개입은 중국이 기존에 자신의 세력권 즉 조공체제로 대표되는 중화질서 체제속에 속해있던 한반도에 내부적 정치 변동으로 중국에 비우호적인 정권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아질 때 선제적으로 군사개입해 이를 차단한다는 유형이다. 대표적 사례로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다룬다. 군사위협 대응형 군사개입은 중국이 자신의 세력권을 간주하고 있던 지역이 내부 정치 변동 혹은 적대적 국가에 의한 점령등으로 성격이 변질될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중국의 영토에까지 군사적으로 위협이 될 것이 확실시 되는 상황에서 군사적으로 선제개입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유형이다. 대표적 사례로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을 다룬다. 경제적...
#... # 국제환경 # 국내상황 # 지도자의 의도와 선택 # 임오군란(壬午軍亂) # 갑신정변(甲申政變) # 임진왜란(壬辰倭亂) # 한국전쟁(韓國戰爭) # 몽고의 개입 # 정묘호란(丁卯胡亂) # military intervention # maintaining scope of influence # responding to military threat # seeking of economic interests # international environment # domestic situation # intentions and choices of leaders # military uprising of the year 1882(壬午軍亂) # Gapsin coup of 1884(甲申政變) # Japane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