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룩셈부르크, 금융기관에 FATF ‘북한 고위험국 유지 결정’ 통보
서유럽 룩셈부르크의 국가금융감독기관(CAA)이 돈세탁 등 불법 금융 거래와 관련해 북한 등을 고위험 국가로 유지하기로 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최근 결정을 자국 금융기관들에 통보했습니다.
[뉴스] FATF, 북한 ‘고위험국’ 지위 유지…올해 14년째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가 북한을 또다시 ‘고위험 국가’로 지목했습니다. 자금세탁과 테러자금 방지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건데, 올해로 14년째입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는 21일 발표한 총회 발표문을 통해 북한과 이란을 자금세탁과 테러자금 방지 노력과 관련한 위험 등급에서 최고 수준인 ‘대응 조치를 요하는 고위험 국가(high-risk jurisdictions)’로 지정한다고 밝혔습니다.
[뉴스] 북 "자금세탁방지기구, 美어용집단 변질"…옵서버 박탈에 반발
북한은 3일 아시아태평양지역 자금세탁 방지기구(APG)에서 옵서버 지위를 박탈당한 것과 관련해 APG가 미국의 "어용 집단"으로 변질됐다고 비난했다.
[뉴스] 북한, 아태 자금세탁방지기구 옵서버 지위 박탈…가입 10년만
[서울=뉴시스] 변해정 기자 = 북한이 '아시아·태평양자금세탁방지기구'(APG) 옵서버 지위를 박탈 당했다. 기구에 처음 가입한 지 10년 만이다.
[학술논문] FATF 권고사항의 2012년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한 소고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인 Financial Action Task Force(FATF)는 1989년 G7 정상회의에서 OECD 산하의 한시적인 임시조직으로 소집되어 활동을 시작한 후, 매 5년 단위로 활동시한이 연장되어 오다가 2004년 2월과 2012년 4월에는 각 8년간 활동시한이 연장됨으로써 사실상 항구적인 조직으로 발전하고 있다. 2012년 2월에 발표된 개정 FATF 권고사항은 먼저 위험기반접근법을 전면적으로 도입함으로써 AML-CFT 체제 전반에 걸쳐 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위험수준에 따라 FATF 권고사항을 이행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높은 위험이 확인되는 경우 각국은 자국의 AML-CFT 체제가 그런 위험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보다 낮은 위험이 확인되는 경우 각국은
[학술논문] 미국의 ‘국제자금세탁방지 및 반테러금융법’(International Money Laudering Abatement and Financial Anti-Terrorism Act of 2001)과 북한 금융제재: 법적 기반과 한계
본 논문은 국제적 테러집단이나 불법조직이 국제적 금융체계를 이용하여 자금을 세탁하고 금융거래를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정부가 제정한 애국법 311조와 이의 집행을 담당하고 있는 재무부의 금융범죄조사국(FinCEN)을 중심으로 한 금융제재의 법적인 근거와 접근법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애국법 311조에 근거를 둔 FinCEN의 북한 금융제재가 효과를 낼 가능성이 다른 제재수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FinCEN 제재는 기본적으로 미국의 금융체계가 범죄자들에게 이용되어 범죄를 실행하는 수단이 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미국의 금융체계를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외교정책 목표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만들어진 해외자산통제국(OFAC) 제재 보다 유연하고 효과적인
[학술논문] 연성규범의 새로운 양상 - FATF와 확산금융방지를 중심으로 -
...다양한 경험을 쌓은 뒤 이를 다시 국제사회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자금세탁방지기구(FATF)를 중심으로 한 불법자금흐름 규제가 그 대표적인 사례인 데, 자금세탁방지기구는 중앙집권적인 입법기관과 사법기관이 없는 국제사회에서 연성법의 다양한 측면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강력한 자금세탁방지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자금세탁방지기구는 자체적인 규범인 권고(Recommendations)를 점진적으로 강화시켜 나가면서, 각 대륙별로 분리된 중층적인 조직 구조를 갖추고, 집단 내 평가(peer review)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이를 사실상 강제해 나가고 있다. 특히, 자금세탁방지기구는 자금세탁방지에서 시작하여 테러자금조달차단으로 규범의 영역을 성공적으로 확대하였으며, 최근에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학술논문] 북한 자금세탁방지 법제의 개선방안
국제 자금세탁방지 금융대책기구(FATF)는 북한을 이란과 함께 고위험국가 중 최고 위험수준인 대응조치(counter-measure)를 필요로 하는 국가로 선정 중인데 이 같은 자금세탁과 관련한 쟁점은 세계적 신인도 하락 등 경제적 손해뿐만 아니라 민주공화국인 우리나라에는 정치적 논란을 발생시켜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소로도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 자금세탁방지 법제의 결합을 염두에 두고 북한의 자금세탁 방지 관련 법제의 경과를 살펴 특이사항을 구분한 후 북한 법제를 우리 법제 및 국제적 기준과 비교·검토해 미비점을 추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북한의 자금세탁방지 법제를 검토한 결과, (ⅰ) 규제목적이 광범위하고 대상 거래의 종류를 분류하거나 특정하지 않아...
[학술논문] 북한 자금세척 및 테로자금지원반대법에 관한 고찰: FATF 이행입법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입법상 법원의 자의적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특히 무거운 경우’, ‘특히 엄중한’ 등과 같은 가중처벌요건 등은 관련 제재조항이 국제사회에서 예측가능성의 측면에서 실효성 있는 현대법적 구성을 갖추고 있느냐에 있어 입법기술적 한계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자금세척 및 테로자금지원반대법이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의 북한 내 금융기관 패쇄조치결정에 따른 이행입법으로서의 성격으로 적극적으로 채택이 진행된만큼 북한으로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관련 법제를 정비해나갈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금세척 및 테로자금지원반대법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북한의 자금세탁 등에 대한 대응과제의 실효성 있는 설정을 위한 규범적 분석연구를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