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권력의 자기합리화 전략으로서 지배담론 분석: 김정일 시기를 중심으로
...행위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지배권력은 정책을 자기합리화의 담론에 의해서 조작함으로써 최고지도자와 대중 간의 심리적 거리를 관리하고자 한다. 이런 논리적 관계에서 북한의 지배권력은 상황별 위기를 대응하는 과정에서 지배담론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면서 대응하였다. 1989년 동유럽의 해체에 따른 사회주의 체제정당성의 위기에 대하여 분리전략을, 1994년 김일성의 사망과 경제적 빈곤에서 발생하는 후계자 정당성의 위기에 대하여 연결전략과 비전전략을, 1998년 이후 최고지도자 정당성의 위기에 대하여 승리의 역사를 구성하는 전략을, 2007년부터는 미래 권력세습과정에서 나타날 위기에 대하여 후광효과 극대화 전략 등을 각각 사용하였다. 결국, 지배권력은 이런 위기대응과정에서 자기합리화 담론전략이라는 일관된 태도를 가졌으며 핵미사일...
[학술논문] 신군부와 노태우 정권의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과 광주청문회
...노태우 정권은 광주청문회의 진상 규명 활동을 막기위해 불법적이고 조직적으로 대응하였다. 국방부를 중심으로 청와대, 민정당, 안기부, 보안사, 육군본부 등이 참여하여 ‘국회대책특별위원회’를 조직하였다. 김길홍 등이 군의 발포를 정당한 공무 수행이라고 주장한 부분, 정호용이 군과경찰의 차이를 부각시키면서 조직의 특수성을 강조한 부분, 공수대대장 권승만 등이 정웅을 발포 명령자로 지목한 부분 등이 이러한 조직적 활동의 결과이다. 노태우 정권의 조직적인 대응은 12·12군사반란 이후 전두환 정권기를 거치며 신군부 세력이 만들어온 자기합리화 과정, 그러니까 광주를 군대를 동원하여무력으로 진압할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대학생들의 시위와 북한의 남침위협때문이라는 입장에 기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