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근 북한의 교육법제 동향에 대한 이해 –고등교육법을 중심으로-
...모습이었는가를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북한의 교육제도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어 제 3장에서는 가장 최근에 제정된 북한의 고등교육법을 다른 북한 교육법이나 강령과 비교하면서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법 제정의 과정이나 법 인식이 변화되고 있다는 점, 법 규정의 상세화와 그것을 대외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점, 대내적으로 법을 대중에게 알리고 그것의 준수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 국제 교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 후원회와 같은 자본주의적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2년에 북한 최고인민회의에서 새로이 법령으로 채택된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을 실시함에 대하여」를 살펴봄으로써 북한의 최근 교육 제도의 동향을 이해하고자 했다.
[학술논문] 여성 탈북민에 대한 감정경제: 여성 탈북민 출연 프로그램의 생산 및 수용의 회로를 중심으로
...수용에 이르는 과정으로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이 시도는 최근 증폭되고 있는 여성 탈북민의 방송 현상이 이들에 대한 남한사회의 관계가 감정적이고 성적인 방식으로 전환, 확장, 심화되는 문화적 변화에조응한다는 입장에 바탕을 둔다. 그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종합편성 방송 채널을통해 부상하고 있는 탈북민 출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생산자(제작진, 출연진)와 수용자(남한 시청자, 탈북민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했다. 인터뷰 자료 분석을 통해 생산 영역에서 제작자와 탈북민 출연자사이에 선의와 신뢰에 근거한 도덕경제가 형성되어 작동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도덕경제는 가부장적이고 자본주의적인 논리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연동, 강화됨으로써 여성 탈북민에 대한 대중적 감정과 남성적인 욕망을...
[학술논문] 북∙중 헌법과 정당체제에 대한 비교론적 연구 - 체제비교론적 관점에서의 북한체제 및 권력구조의 변화 -
...분리되거나, 김일성 가계중심에서 척신세력 또는 공신세력 중심의 집단지도체제로의 방향 전환은 체제 붕괴를 의미하므로 거의 그렇게 변할 확률은 희박하다고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체제는 가까운 미래에 닥칠 위협에 대비하여 그들의 생존을 위한 새로운 정치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북한의 김정은은 국방위원회를 폐지하고 국무위원회로 개편하는 등 ‘비상국가체제’가 아닌 ‘정상국가체제’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2) 이러한 변화를 견인하는 요소가 바로 북한체제를 위협하는 자본주의적 경제체제와 문화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대북정책은 그들의 체제를 인정하면서 중국의 변화와 같은맥락에서 서서히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직·간접 접근전략을 적극적으로 구사해야 할것이다.
[학술논문] 루마니아라는 창을 통해 들여다 본 6.25전쟁
...적화)통일 시도였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역사인식 (혹은 역사의식)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6.25전쟁과 관련된 역사적, 정치적 기억에 대한 논의도 역시 사회, 정치적 세력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으로 변천되고 발전되어 왔다. 하나의 사회현상을 어떤 시각을 통해 보느냐에 따라 우리의 인식이 달라질 수 있고 그 인식에 대한 원인과 진단, 나아가 그 문제에 대한 접근방법과 해결방안까지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제까지 지녀왔던 자본주의적 잣대가 아닌 사회주의적 시각, 즉 당시 북한과 동일한 이념의 틀 안에서 공존했던 루마니아의 렌즈를 통해 6.25전쟁을 새롭게 조망한다면, 이것은 6.25전쟁을 보다 다양한 각도로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가치 있는 시도라 여길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학위논문] 북한 권력구조 변화에 대한 비교체제론적 연구 : 북한과 중국의 헌법 및 공산당 비교
...국가로부터 분리되거나, 김일성 가계 중심에서 척신세력 또는 공신세력 중심의 집단지도체제로의 방향 전환은 체제 붕괴를 의미하므로 거의 그렇게 변할 확률은 희박하다고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체제는 가까운 미래에 닥칠 위협에 대비하여 그들의 생존을 위한 새로운 정치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견인하는 요소가 바로 북한체제를 위협하는 자본주의적 경제체제와 문화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대북정책은 그들의 체제를 인정하면서 중국의 변화와 같은 맥락에서 서서히 변화하도록 유도하는 직간접 접근 전략을 적극적으로 구사해야 할 것이다.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s a hereditary authoritative system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