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아스포라, 민족과 자아 그리고 융합의 글쓰기 -재일동포 한국어 수필을 중심으로-
...재일동포 한국어 수필에서는 첫 번째로, 체화되지못한 고향으로서의 조국과 실제 정주지인 일본 사이에서 겪게 되는 화자의타자화된 경험이 나타나고 있다. 두 번째로는 남북한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상황에 대한 재일동포의 인식 태도를 볼 수 있다. 세 번째로는일본의 민족차별에 저항하는 공격적인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 네 번째로는재일동포의 민족 정체성에 대한 위기의식을 드러낸 김일성, 김정일의 우상화강화를 보여준다. 자아실현의 생활화가 나타나고 있는 재일동포 한국어 수필에서는 자기성찰,개인적 문화생활 등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내면적 충실성을 보여주고있다. 민족 정체성과 자아실현을 동시에 반영하고 있는 재일동포 한국어 수필에서는 조국(민족)과 자아 관계로서의 새로운 의미망과 치유와 환대의 공간을 창출해낸다.
[학술논문] 북한 독재체제의 내구력에 대한 질적 연구
...체제 고수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고 군사력을 장악하고 있으며 조밀한 정보망 구축, 우민화, 사상 이념의 강력한 통제, 무자비한 처벌 제도 등으로 하여 그 어떤 독재 체제도 달성할 수 없었던 3대 세습을 달성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로널드 잉글하트’의 서구에서 경제적 부(富) 확장과 병행하여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가치관 변화 및 자아실현을 위한 행위가 증가되어 사회 전체의 거대한 변혁을 가져올 수 있는 ‘조용한 혁명’을 수반 한다는 이론을 분석틀로 하여 북한 주민의 의식변화 연구를 위해 탈북자 330명을 표본조사 하였다. 결과 북한 독재 체제가 역사상 가장 강력하지만 북한 주민의 근원적인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본능과 의지까지는 말살할 수 없으며 현재에도 북한 주민의...
[학술논문] 북한 이탈 주민 대학생의 북한말 및 사회언어적 배경을 활용한 영어 교수법 활용 연구
...사전·사후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북한 이탈 주민 학습자의 모국어 및 사회언어적 지식을 활용한 영어 프로그램은 탈북자 영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영어능력 부족으로 한국 사회 정착에 곤란을 겪고 있는 탈북 학습자들이 사회언어적·문화적 스키마 활용 후 어휘, 문장 습득, 말하기, 쓰기 능력의 향상이 일어났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가졌던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긍정적 호감으로 바꾸는 데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탈북 학습자들의 한국 교육과정 적응에 도움을 주어 영어 학습의 긍정적 언어 자아실현을 돕고자 하였다. 소수에 대한 질적 연구이므로 본 교수법의 실효성을 입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학술논문] 고등교육 학위과정에 참여하는 북한이탈(탈북)중년여성의 ‘전환학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통하여 1,316개의 의미 단위를 발견하였고, 이를 통하여 22개의 하위구성요소, 여섯 가지의 의미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의미구성요소는 <어렵고도 험난한 길-탈북>, <안도와 불안의 교차점 뿌리내리기>, <배워야 사는 세상>, <배움의 성취와 전환학습>, <두 세대의 통일연습>. 마지막으로 <자아실현과 그 의미>이다. 탈북중년여성의 고등교육 학위과정 학습은 첫째, 평생학습은 인간의 삶을 변화 시키고, 둘째, 탈북중년여성의 고등교육 경험은 심리적 안정과 지적․사회적․경제적 지위를 향상시켰으며, 셋째, 삶은 배움을 통하여 ‘인간다움’을 만들어 가는 과정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탈북자를 위한 정책과정에 반영되고...
[학술논문] 만학도 북한이탈주민의 사이버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활용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렸다. <원활한 사이버대학생활을 위한 지원체계>에서 경제적, 사회적 지원과 인적 지원을 받았지만 대학차원의 지원체계의 필요성도 제안하였다. 그리고 남한사회와 연결시켜준 대학생활을 토대로 연구참여자들은 미래에 대한 꿈을 성취하기 위해 <대학생활을 통한 재도약 준비>를 하였다. 이렇듯 연구참여자들은 남한에서의 안정적인 정착과 자아실현을 위해 대학교 졸업장을 취득하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학도로 공부를 시작한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적합한 교육적 요구를 탐색하여, 이들을 위한 관련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성공적인 사이버대학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서비스에 대한 제안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