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상의 자주적 통일 민족국가; 북조선, 1948년 체제 - 북조선기행기와 민족주의 문화지식인의 동향을 중심으로
...의해 제기․실천되었던 자주적 통일 민족국가수립 운동을 복원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들이 상상하고 추구하였던 자주적 통일 민족국가의 비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본고가 주목한 것은 첫째, 최선이든 차선이든 제2차 미소공위가 결렬된 뒤 한국문제가 유엔으로 이관되면서 이에 편승/거부하며 민족의 생로를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했던 국내의 모든 정치․사회문화세력들에게 있어 북조선은 어떤 존재였고, 또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이 시기에 생산된 일련의 북조선기행기들은 북조선 파악의 민족적 의의에 주안점을 두고 비교적 사실 그대로 북조선 현실의 전모를 소개하려는데 주력함으로써 실제의 확인보다 풍문, 선전, 관념 등에 치우진 북조선인식을 교정하고 자주적 통일 민족국가건설의 정당성과 그 비전을...
[학술논문] 통합정부수립운동으로서의 1940년대말 남북협상 평가
...남북협상을 1948년 4월의 평양회합에 국한시키기보다 그것을 전후하여 전개되었던 자주적 평화적 통일정부수립운동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본다. 즉 남북한의 단독정부 수립과 분단 상황에 직면한 일군의 정치세력들이 민족 내부의 동력에 의존하는 자주적인 방식, 무력이 아니라 협상에 의한 평화적 방식으로 통일정부의 이상을 밀고나가 보려 했던 모든 노력을 총괄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볼 때 남북협상을 정치적 입지가 좁아진 김구·김규식이 좌파들에 의해 떠밀려 추진한 것으로 결국 소련과 북한에 의해 이용만 당했으며 단정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정치적 실패를 한 것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해방 후 통일민족국가 건설을 제일의 과제로 생각했던 민족주의 독립운동세력이 공산독재나 독점자본주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