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의 변화와 그 원인(1953~1973)
This paper contemplates upon the dimension of changes the Korean Serviceof Voice of America (VOA) went through and its causes, starting from the KoreanWar Armistice until the removal of the relay broadcasting of Korean radio stations. VOA, the U.S. government propaganda machine, was successful at some degreein deeply permeating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ism into the consciousnessand attitude of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
본고는 한국전쟁기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선전방송을 하였던 미국의 소리(VOA) 한국어방송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미국정부는 전쟁 승리, 반공 확산, 대외정책의 홍보, 미국문화의 전파라는 큰 목표 아래 VOA를 운용하였다. 특히 한국어방송은 전쟁 승리를 위한 반공 메시지의 전파를 가장 주요한 임무로 삼고, 3년 동안 매일 오전과 오후에 모두 1시간 15분 간 방송하였다. 대부분 사회적 상층이었던 한국인 청취자들이 가장 선호하였던 프로그램은 전쟁 상황과 세계 각국의 소식을 전하던 <뉴스>와 중요한 시사와 인물 등을 미국정부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설명하던 <해설>이었다. 다양한 주제와 소재로 만들었던 <특집>, 청취자를 모으기 위한 음악과 드라마 위주의 오락 프로그램이 있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