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국가의 특성상 독재자에게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하다. 중국과 소련을 볼 때도 스탈린과 마오쩌둥에 마음을 빼앗겼다.
하지만 북한을 제외한 다른 사회주의 국가는 세습을 하지 않아 다양한 사람들이 역사에 등장할 수 있었다. 우리들은 소련의 흐루쇼프·브레즈네프·고르바쵸프·푸틴 등이나 중국의 덩샤오핑·장쩌민·후진타오·시진핑 등에 주목했다. 이런 측면에서 북한은 김 씨 3부자를 제외한 사람들이 역사 속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책의 저자가 김 씨 3부자의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진 것은, 역사는 주연이 혼자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조연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중국 역사를 보더라도...
[정치/군사]
...
국가핵심이익의 3박자
국가주권-국가안보-국가발전이익
개념 공식화: 문서화, 개념화, 권위 부여, 절대화 작업
국가핵심이익 정책사
개념화 시초: 타이완 문제(2003년)
공식화 시점: 《중국의 화평발전》(2011년) 백서 발간
외연 확대: 국가이익 도입(장쩌민)→핵심이익 강조(후진타오)
→국가핵심이익 규정 본격화(시진핑)
시진핑 집권 2기: 中印 변경 분쟁, 미중 무역전쟁 부각
한중관계 30년_무너진 중국꿈
기회보다 위협으로 다가온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구동존이 폐기, 구동화이 관계 구축...
[학술논문] 人民日報를 통한 江澤民과 習近平의 권력집중현상 비교연구
...중국 언론의 전형인 인민일보 1면 보도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시 주석의 권력 장악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1997년 2월 덩사오핑 사망 이후 정적을 제거하고 핵심 권력을 모두 장악하면서 최고 권력자로 군림했던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두 사람의 언론 노출 빈도와 취급 기사의 가치 평가 등 양적·질적 분석을 통해 권력의 집중 여부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시진핑 주석의 인민일보 1면 뉴스 출현 빈도는 물론 1면 주요 기사 분석과 1면 사진 분석에서도 장쩌민 주석보다 각각 두 배 이상 늘어나 두 지도자의 권력 독점 정도에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인민일보 보도 태도는 그동안 권력의 1인 집중에 따른 폐단을 경계하기 위해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해온 중국공산당내 권력 구도가...
[학위논문] 脫冷戰期 中國의 對韓半島政策에 관한 硏究
...실용주의 노선으로 전환되고 있다. 즉 북한일변도정책에서 등거리외교로 전환되었으며, 중국은 한반도문제에서 보다 직접적인 발언권과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소련의 붕괴, 천안문사태 등으로 국제적 고립을 의식한 장쩌민시대의 초기에는 여전히 중국과 북한의 순망치한의 전략적 상호 의존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북한 핵문제를 비롯된 북한의 제반 사안에 대해서 비교적 소극적인 자세를 견지했다.
그러나 2002년에 등장한 후진타오 체제는 ‘중화민족의 부흥’ 전략을 제시하면서 장쩌민 후반기에 내세운 ‘책임대국’ 건설이라는 대외정책 이미지의 창출 노력을 강화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은 한반도정책을 영향력 강화라는 방향으로 수정하고 있다. 후진타오 정부는 대북 관계를 동북아...
[학위논문] 統治理念과 文化遺産政策의 變動에 관한 硏究 : 中國과 北韓을 中心으로
...실사구시에 입각한 통치이념으로 개혁․개방정책을 펼쳤다. 그리고 문화대혁명 등의 오랜 혼란기간을 청산하고 애국주의와 혁명전통 교육을 진행하며, 사회주의 정신문명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에 따라 문화유산에 대해서도 국제협약에 가입하여 세계 속에 중국의 문화유산을 알리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장쩌민은 덩샤오핑의 통치이념을 이어받아 장쩌민의 3개 대표이론으로 통치이념을 삼았다. 문화유산 이념도 사회주의 정신문명을 강조하며 국제화에 따른 적극적인 문화유산 정책을 펼쳤다. 이에 따라 분실되어 해외로 유출되었던 문화유산을 환수하는 등 국제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후진타오시기에 들어와 중국은 과학적 발전관으로 통치이념을 바꾸었다. 따라서 개혁․개방으로...
[학위논문] 중국의 대북한 외교전략 변화에 관한 연구 : 장쩌민, 후진타오 시대를 중심으로
...포용하는 부담감이 급증하였고 장쩌민지도체제에서의 어떠한 대북제재나 국제사회의 압박을 반대하던 입장에서 점차 일정한 제재와 압박에 동참 또는 묵인하는 입장으로 변화하였다. 즉 후진타오지도체제에서 북한의 핵위기가 더는 위기가 아닌 핵실험으로 현실화됨으로써 장쩌민지도체제에서보다 북한을 포용하는 대가가 급격히 커진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후진타오지도체제에서는 장쩌민지도체제에서의 설득위주의 방식에서 설득과 압박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장쩌민지도체제와 후진타오지도체제에서의 대북한 외교전략은 큰 흐름에서의 실용주의적 외교전략을 유지하는 동시에 시기에 따라 사안에 따라 포용전략을 병행하는 것에서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후진타오지도체제에서는 장쩌민지도체제에 비하여 북한에 대한...
[학위논문] 중국공산당 개혁개방기의 리더십 혁신과 북한 : 최고지도자들의 비전, 노선,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제2차 혁명’의 ‘자아진화’ 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자능력(四自 能力, Four-self Ability)’ 이론 등 배경을 연구한 후에, 정치리더십 접근(Political Leadership Approach)을 통해 ‘제2차 혁명’ 과정에서 있었던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네 명 최고지도자의 리더십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그들의 비전을 분석하며 비전에 따른 노선 및 정책 혁신을 검토하고 평가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현대 중국 경험이 북한 정치에 시사하는 지점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국공산당의 리더십 혁신 과정에서 시기별로 최고지도자들의 자서전이나 평전, 중국공산당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