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본 북한-총련-일본 관계 연구
...대변된다. 결론적으로 글로벌시대 총련은 형성과정과 단체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탈민족화와 탈경계화의 격랑에 휩싸여 ‘조국지향’과 ‘민족이탈’이라는 중간지대의 디아스포라적 상황에 처해있다.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줄곧 디아스포라적 위치에 천착해 온 총련에 대한 한국정부의 특별한 관심과 재외동포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다소 소홀했던 총련과 북한(북한-총련-일본)과의 관계를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일본 현지 자료수집과 분석상 어느 정도 한계를 지니고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연구를 통해 그들을 한민족디아스포라로서 포용하고 민족자산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총련의 글로벌 위상을 새롭게...
[학술논문] 북한 재외동포 정책의 역사와 변화 가능성
북한은 일찍부터 나름대로의 재외동포 정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현실 여건상 주로 일본 지역의 동포들에게 관심을 가졌을 뿐, 구 소련이나 중국, 유럽이나 미주 지역의 동포들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북한에게 재외동포 문제란 곧 해외교포운동을 의미했고, 이의 핵심은 재외동포들의 민족적 권리의 회복, 조국에 대한 애국적 기여, 그리고 분단 상황에 따른 통일 운동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북한의 재외동포에 대한 관심은 1970년대를 거치면서 일본 지역을 벗어나 점차 미주 지역과 유럽 지역으로까지 확대되었다. 또한, 냉전 이후에는 구 소련권 및 중국 등지의 재외동포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이결과 이들 지역에 북한과 관계를 맺는 단체와 조직이 결성되기 시작하였다. 김정은 시대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