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재외동포의 현지 모국어 교육의 역사적 기술이 가능하며, 현재 ‘남한어’와 ‘북한어’ 사이 ‘조선어’의 중간자적 지정학적 위상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조선어 교과는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현재 국립국제교육원, 재외동포재단 등에서 재외동포 대상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들을 배포하고 있으며, 온라인 학습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사정을 고려하지 못한 공급자 중심의 교재 제작으로 이들은 현지에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에 참여했거나 한국어교육의 실행 주체인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에 대한 한국어교육 전문가의...
[학술논문]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1) -지난 50년간의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 귀국학생, 중도입국 학생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도 맞물리게 된다. 셋째, 교육과정, 평가, 프로그램 등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넷째, 아동 대상 연구에 치우쳐 있다는 점, 다섯째, 발음, 문법, 담화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도 해결해야 할 일이다. 마지막으로, 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의 자세가 필요하다. 교육학, 어학, 문학 분야의 연구 성과는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의 문제를 연구하는 데에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회학, 인류학 등은 물론 최근 등장한 디아스포라, 재외동포학 등의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들을 이루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