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중 탈북자 문제와 한국 정부의 정책: ‘조용한 외교’와 ‘적극적 외교’ 사이에서
...머물고 있는 탈북자 문제 가운데 가장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면서도 그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가 바로 재중 탈북자 문제이다. 재중 탈북자들에 대한 문제제기가 시작된 지 20여년에 이르고 있지만, 이들의 현지 생활이나 인권 상황은 여전히 답보상태이다. 그동안 재중 탈북자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중 외교정책 기조는 김영삼 정부 이후 김대중․노무현 정부, 그리고 이명박 정부에 이르기까지 ‘조용한 외교’였다. 이 논문은 재중 탈북자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조용한 외교’ 정책을 검토하고 ‘적극적 외교’ 정책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논의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재중 탈북자 문제의 국내정치화 및 외교 이슈화를 검토한 후, 재중 탈북자 문제의 주요...
[학술논문]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한·중 협력
...표현하면 ‘안정’이다. 이는 북한의 비핵화, 심지어 북한 정권의 지속보다도 더 상위에 있는 목표이다. 한·중 양국은 지난 22년간 괄목할만한 관계 발전을 이루었고, 또한 양국간 교역 및 교류 측면에서 유례가 없는 업적을 이루었다고 평가된다. 단, 관계의 심화 및 교류의 확대 이면에는 다양한 우려가 남아 있는데 이에는 재중 탈북자 문제, 고구려사 왜곡, 한반도 통일 등 현안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구체적이고 중장기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보다 전향적인 입장이 요구되고 있다. 한·중간 군사교류·협력도 양국 관계의 전반적인 추이를 반영하고 있다. 군사·안보분야는 타 분야에 비해 진전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북한, 한·미동맹, 그리고...
[학술논문] 탈북 도우미의 소설화 양상과 그 의미
...비판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정부는 탈북자 문제에 소위‘조용한 외교’로 접근하여 제삼국으로 탈출한 탈북자를 입국시켜 왔다. 중국정부는 재중탈북자를 적발하여 북한으로 강제송환하면서 탈북자 처리 문제는 한국이나 국제 사회가 개입할 문제가 아니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국제법상 탈북자는 북한 국민이고 중국과 북한은 수교 국가이기에 양국 사이의 외교 관계에 대해 한국정부가 개입하기 어렵다. 탈북자 문제에 대한 법적 현실을 생각하면 탈북이주민 제재 소설에서 탈북자의 인권과 밀접하게관련된 탈북 도우미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요구된다.중국정부가 재중탈북자의 한국행을 돕는 탈북 도우미에 대해 형사적 책임을 묻는 정책을 펴더라도, 한국행을 원하는 탈북자들이 존재하는 한 탈북 도우미는 없어서는...
[학술논문] 재중탈북자의 난민 인정 여부와 법적 보호 방안 : 중국법과 국제인권법 비교를 중심으로
...“재중탈북자는 불법체류자인가? 난민인가?”라는 질문에 “불법적으로 국경을 넘은 사람들에 대해 일관되게 국제법, 국내법, 인도주의 원칙을 적용”한다는 중국 측의 기본적인 입장이 재중탈북자에 대하여도 적용되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재중탈북자의 법적지위를 놓고 다양한 연구들이 논의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국제법 해석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재중탈북자들에 대해 중국 정부는 여전히 “중국법을 위반한 불법체류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재중탈북자의 문제는 조‧중과 한‧중관계, 그리고 복잡한 국제이해관계에 얽혀 있기 때문에, 국제법으로만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탈북자 문제는 국제법을...
[학술논문] 中國과 北韓의 國境 管理實態 -1950~1960年代를 中心으로-
건국 초기 중국에서는 在中 조선인의 국적 부여 기준이 정해지지 못했고 1956년에 그 기준이 정해졌지만, 재중 조선인들의 이중국적 의식이나 북한 내 친척과의 혈연의식이나 북한에 대한 강한 민족적 정서를 가지고 있었다. 더욱이 1962년 10월 ‘朝中邊界條約’과 1964년 3월 ‘朝中邊界議定書’가 공식 체결되기 전까지 북ㆍ중 양국에서는 국경의 관리ㆍ이용ㆍ통제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체계도 잡혀있지 않은 상태에서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대규모의 북한난민이 중국으로 몰려들었고, 중국에서는 조선족을 중심으로 대규모의 전투인원이 북한으로 들어가 참전하는 등 압록강과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북ㆍ중 주민들의 상호 월경이 빈발했다. 특히 중국의 反右派鬪爭으로 소수민족들이 탄압을 받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