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변질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건전한 비판으로서 시민 불복종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9장. 국제 문제에 대한 윤리적 쟁점과 대안
이 장은 국제사회 속에서 다양한 행위자들이 어떻게 윤리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실천하는지의 문제를 탐구한다.
이 장은 국제 문제 관련 제반 이론, 즉 현실주의, 이상주의, 자유주의, 정의 전쟁론, 계급 갈등론, 구성주의, 기능주의 등을 살펴보고, 국제 문제에 대한 윤리적 쟁점들을 살펴본다. 나아가 국제 문제에 대한 전통적인 윤리적 시각으로 해법을 모색하기 어려운 새로운 형태의 국제 문제를 제시하고, 그것의 윤리적 과제가 무엇인지 언급한다.
...
[사회/문화]
이 책은 통일연구원의 평화교육의 실태와 쟁점: 통일교육과의 접점을 중심으로 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분석: 청소년 시민성 교육에의 시사점
... 초등학생들은 주로 대중매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가족 및 친구와 이슈에 대한 대화나 토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이슈 대화 및 토론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은 조사 대상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으며, 참여하는 경우에도 자기 의견을 표명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초등학생들이 이슈에 대한 발언하기나 침묵하기를 선택하는 데는 이슈에 대한 감정 및 지식, 이슈 대화 및 토론 결과에 대한 기대 여부, 타인과의 교감 등에 대한 판단이 작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에 대한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제공의 필요성, 학교 교육 및 교사의 역할 제고, 이슈 대화 및 토론 과정에서 침묵하기 현상에 대한 면밀한 탐구의 필요성을 청소년 시민성 교육 및 연구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한국전쟁 포로협상과 중국군 포로의 선택
한국전쟁 포로협상에서 중국군 포로 문제는 최대 쟁점이었다. 중국군 포로의 송환거부 비율이 북한군 포로에 비해 지나치게 높았고, 중국은 이것을 문제 삼았다. 포로문제에서 중국이 가졌던 강경한 입장은 포로협상 결렬로 이어졌고, 그로 인해 전쟁은 일년 이상 더 지속되었지만, 이러한 사실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미국은 중국군 포로의 심사와 선택 문제를 심리전 차원에서 접근했다. 유엔군의 포로교육은 중국군 포로의 송환 선택에 영향을 미쳤는데, 포로교육을 담당한 대만출신 요원들은 적극적으로 대만행을 유도했다. 그러나 포로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 결정적 요인은 포로수용소를 장악한 전국민당군 출신의 우익포로지도자들로, 그들은 포로들을 통제하고 그들의 선택을 폭력적으로 강요하는 경우가 많았다. 중국인 포로의 압도적 다수가...
[학술논문] 남북한 맞춤법의 비교․분석을 통한 맞춤법 교수․학습 내용 연구
... 탐구할 수 있는 쟁점 조항들을 비교․분석하고 교육 내용의 일단으로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북한의 어휘교육 내용 고찰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Vocabulary Education in North Korea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in North Korea. And it emphasizes understanding and use of words, suggests various ways of understanding meaning, improve of quantitative ability, emphasizes understanding of Sino-Korean words without Chinese characters
[학위논문]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 말다듬기 정책의 변천은 문화어운동과 병행하여 추진된 정책으로 의도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었다. 문자 정책의 변천은 한글 전용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였지만 한문 교육은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고 하였다. 국어사전의 편찬 방법과 기술은 상당히 우수하다고 평가하였고 국어과 교육의 변천에서는 국어 교육이 매우 강조되어 있다고 하였다.
남북한 언어의 문제 중에 가장 쟁점으로 떠오르는 것은 언어에 대한 태도라고 하였다. 언어에 대한 태도가 근본적으로 다른 상황에서 남북한 언어를 통일하는 방안으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 규범을 통일할 수 있는 남북한 범민족 기구를 두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 기구는 남북한 어문 규범 통일을 위해 수시로 모임을...